작고 가벼워진 어머니가 주렁주렁 탯줄에 매달려 계신다 숨을 주는 줄 젖을 주는 줄 오줌을 빼는 줄 피를 깨끗이 돌려주는 줄 갖가지 초현대식 기계엄마들이 태반을 대신해 열심인데도 어머니는 자라지 않고 자꾸 작아지신다 눈 맞춤도 못하고 옹알이도 잦아들고 까무룩 잠만 길고 깊어진다 준비도 없이 숨 받아 세상에 왔는데 정리도 없이 숨이 꺼져가고 있다 목련 꽃봉오리들은 뽀얀 젖빛으로 또다시 태어나고 어머님 살갗에는 자목련 꽃잎이 피어나고 있다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
봄날 꽃향기 바람 타고 지구촌 방방곡곡 의사들이 의학 발전의 꿈을 품고 금쪽같은 시간 내어 모였다 입안에서 시작하는 우주시대 서울에서 빛나는 첨단 의술 토론의 열기가 성화 되어 인류 문명의 길잡이 되리라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절망의 아픔까지 뽑아낸 인술 더 굵고 뿌리 깊은 거목 되어 세계 평화의 이정표로 자란다 신의술을 연마하는 일마다 근면하고 성실한 치과의사들이 모두가 행복할 자유를 위하여 건강한 미소를 선사한다. 김영훈 초대 회장 -《월간문학》으로 등단(1984) -시집으로 《꿈으로 날으는 새》, 《가시덤불에 맺힌 이슬》, 《바람 타고 크는 나무》, 《꽃이 별이 될 때》, 《모두가 바람이다》, 《通仁詩》 등 -대한치과의사문인회 초대 회장
저쪽 벼랑까지는 출렁이는 외길 서둘러 도착한 저녁은 젖어 있고 산과 호수, 고요가 깊다 어둑한 한 쌍이 흔들다리를 건넌다 불안과 견고 위태와 안정 사이 느슨하고도 팽팽한 긴장이 손바닥에 흐른다 걸음을 인도하는 건 믿음 흔들리는 마음을 서로에게 가까스로 붙들어 맨 균형이 미끌, 아찔하다 당신까지의 거리는 언제나 곡선 천천히 흔들리며 조심스레 당도하기로 한다 우리 사이, 출렁다리 위에서 문득 저물어버린다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
시간이 늦게 흐르는 길 따라 당신은 아직도 오고 있는 중 아무리 그림자 길어지는 시대착오적 곰팡이라 해도 발효의 시간만큼 기다리고 싶다 사모할 틈도 없는 인터넷 세상 설익은 사연 봉함할 수 없는 편지 슬로시티 황소걸음으로 배달된다 물음표가 아니라 느낌표로 눈물 찍어 긴 답장 쓰고 싶다 골목길 모퉁이 돌고 돌아 당신은 아직도 오고 있는 중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한 칸에 한 사람씩 이름을 채워본다 가족 친구…… 문턱 낮추고 왕래한 사람들…… 누구를 빼고 누구를 넣을까 고민과 불면을 바꾼 시간이 내 관계의 삶을 만들었는데 내밀한 것들은 어느 칸에 적을까 나에게 꽃을 달아준 사람 부를 수 없는 이름은 어디쯤에 끼워 넣을까 화이트리스트는 점점 짧아지고 블랙리스트는 자꾸만 길어져 나 두서없이 어두워지는데 화이트리스트 맨 위 칸에 슬며시 그를 앉힌다 비밀한 죄 하나 받아 평생 속죄하고 싶은데 나는 과연 그의 어느 리스트 어디쯤 올라있는지 내 인생의 버킷리스트 넣고 빼고 수정하며 사랑의 꿈보다 달콤한 꿈에 빠져보기도 하는데 앳 리스트(At least), 최소한 내 사랑하는 이들 잔금 많은 두 손바닥 명부 칸칸에 삭제되지 않는 등본으로 새기고픈 마음 잠시 내려놓고서…… -------------------------------------------------------- *프란츠 리스트의 <사랑의 꿈>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
세상이 웃지 않으면 너와 내가 많이 웃자 크게 웃고 길게 웃고 배와 온몸으로 웃자 고통을 잊고 싶은가 배꼽 빠지게 웃어라! 행복하고 싶은가 매일 많이 웃어라! 사랑해서 그리운 것이 아니라 그리워하다 보니 사랑이듯이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다 보니 행복해지는 것 억지라도 웃자 웃어넘기자 미치도록 웃자 웃어버리자 웃음은 최고의 유산소운동 부작용 전혀 없는 만병통치약 ---------------------------------- *윌리암 제임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몽골의 조랑말은 나를 태우고도 기회만 되면 멈춰 서서 풀을 뜯었다 양과 염소들도 깨어 있는 내내 대지에 고개 숙여 풀을 먹는다 저 먹이활동이 즐거운 휴식인지 마지못한 노동인지 궁금했다 식사=휴식이라는 통념은 늘 옳은 걸까 핸드폰 속 세상을 끊임없이 두리번거리며 빵 한 조각 허겁지겁 베물고 일어 서는 인간의 식사도 있다 혀의 쾌락도 없이 위루관으로 뱃속에 죽을 욱여넣던 루게릭병 친구 휴식도 노동도 아닌 그 순간 눈망울은 말보다 낙타보다 크고 글썽했다 더 이상 고개를 숙이지도 못하니 자연의 섭리를 넘어선 걸까 허기가 인류의 문명을 여기까지 끌고 왔다는 명제를 되새김질해 본다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엄마 품에 안겨 당당히 허기를 채우던 첫 밥의 힘이 지상의 식사를 끌고 간다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
비워야 갈 수 있는 구불구불 어두운 골목길 불 켜고 노려보는 뱀의 눈 해어지고 허물어진 담벼락 안쪽 검진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나는 수상한 영상 들키고 싶지 않은 치부(恥部) 보여주고 싶지 않은 오장육부(五臟六腑) 수색 당하고 검색 당하는 수치심 이제 더 이상 은밀한 곳 없다 이제 더 이상 신비한 곳 없다 세포까지도 현미경에 사로잡힌다 고성능 렌즈로 보는 청문회 배율 엄청난 렌즈로 보는 인터넷 거울과 렌즈가 까발리는 세상의 민낯 하루에도 수십 번 몰래 촬영 당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도시에는 사람은 없고 피사체만 걸어 다닌다 실상과 허상의 세계가 맞부딪힌다 안쪽을 볼수록 바깥 같고 바깥을 볼수록 안쪽 같은 안과 밖이 경계를 허물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이 미터면 되겠나 그대와 나 사이 거리 말뚝마다 하나씩 앉은 저 갈매기들의 거리 만큼이면 좋지 않겠나 아득히 보이지 않던 그대 얼굴 정말 한 아름 거리에 오기는 하는 건가 밀접했던 마음은 그만큼 더 띄워야 하는 건가 사회적 거리는 물리적 거리 심리적 거리도 멀어지는가 내 옆자리는 언제나 비어 있는데 닿고 싶어 닿고 싶어 네가 없어 키 커진 그림자만 텅 빈 거리를 오래 서성인다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
머리를 뚝 떼어 귀양 보내고 풍만한 유방 튼실한 궁둥이 들고 눈이 맛있는 식사가 푸짐하다 팔은 반으로 접어 나무둥치에 걸치고 아랫도리만 살아서 각선미가 춤을 춘다 파도에 치마는 흘러내릴 듯 감기고 싱싱한 뱀장어가 서로의 다리를 꼬아 햇살 아래 번쩍거리며 교미를 한다 바위 속에 꿈틀거리는 인어의 비늘 형체가 아닌 것을 깎아내 버리면 표정이 이를 희게 드러내며 웃는다 빛을 삭제해버린 어둠 속에서 서서히 판도라의 상자가 떠오르고 직선으로 빗살로 반사의 생명 머금고 곡선이 이기고 직선의 투명한 집으로 꺾여 든다 침묵을 뿜는 분수가 정점에서 떨고 볼 때만 이어지는 생명 보이지 않는 세계로 접히면 조개 속에 진주가 빛을 품는다 이 집의 남자는 몽땅 태양을 안고 가출하고 여자가 홀로 달을 붙들고 열심히 해산을 한다 문이 열릴 때마다 질식 직전의 식구들 원색의 외출복 갈아입고 나머지 시간을 챙겨 호수를 가로질러 안개꽃을 피우러 간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보이지도 않는 검은 그림자가 지구 상공을 누볐다 불행히도 불안은 비껴가지 않았다 검은 그림자는 수액처럼 지상에 스며들었다 뉴스를 보다 잠이 들었는데 끝이 안 보이는 배급 줄 맨 끝에 내가 떨며 서 있었다 격리와 고립이라는 초유의 현실 죄 없는 사람들까지 마녀사냥당하듯 죄인이 되고 서로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추궁했다 총성도 없이 선전포고가 이어졌다 마스크 두 장을 다 쓰고 창문 닫고 머리까지 이불을 덮어 올렸다 그날 밤에도 나는 낡은 잠옷 바람으로 보이지도 않는 배급 줄의 꼬리를 찾으며 울고 있었다 역설적으로 다시 푸르러 맑아진 지구를 검은 그림자가 내려다보며 웃고 있었다 이영혜 원장 -2008 《불교문예》 등단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창과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초빙 부교수 -박앤이서울치과의원 원장 -시집 《식물성 남자를 찾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