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가 3년여의 개정 작업 끝에 ‘치주과학 제8판’(군자출판사)을 펴냈다. 이번 개정판은 전통적인 내용의 심화와 함께 최신 학문적·임상적 흐름을 반영해 치주학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한층 강화했다. 특히 가장 큰 변화는 2017년 미국치주학회(AAP)와 유럽치주연합(EFP)이 공동 제시한 새로운 치주질환 분류 체계를 전면 도입한 점이다. 기존의 병소 깊이나 범위 중심의 분류에서 벗어나, 환자의 구강 기능·생활 습관·전신 건강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예후와 치료 복잡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에 따라 8판에서는 전신질환과 여성 건강 등 관련 주제를 별도로 확장해 다뤘다. 또 치주 치료의 근간인 치주낭 이해와 기본 수술 파트는 체계적으로 재정리됐고, 국소 항생제 사용 등 염증 제어 전략 역시 최신 임상 흐름에 맞춰 수정됐다. 더불어 성장 인자, 유전자 치료, 줄기세포 응용 등 차세대 치주 조직 재생 기법을 폭넓게 포함해 전통과 혁신의 균형을 추구했다. 임플란트 분야에서도 변화가 컸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진단·치료, 심미와 기능을 조화시키는 임플란트 디자인,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임플란트주위염 관리 등 임플란트 치료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임상 지침이 새롭게 제시됐다. 이번 교과서 개정에는 김창성 교과서편찬위원장(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을 필두로 이중석(간사)·구기태·김옥수·김용건·신승일·윤정호·이동운·이성조·이원표·이재관·주지영 교수가 참여했다. 김창성 위원장은 “편찬위원회에서 3년 동안 고생하며 기존 틀을 완전히 바꾸는 작업을 한 만큼,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 치주학의 방향을 정립하는 결과물이 될 것”이라며 “올해 2학기부터 학부 수업에 바로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했다. 학부생에게는 균형 잡힌 지식을, 전공의·전문의에게는 근거 기반 임상 가이드를, 개원의·연구자·교육자에게는 최신 지견을 보여 주는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의 허영구 원장이 지난 8월 23일 부산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ALX 론칭 세미나’를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허영구 원장은 ‘ALX & 1~2day Loading with Final Restoration’을 주제로 실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즉시 로딩에 적용 가능한 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했다. 허 원장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네오의 신제품 ALX 임플란트의 독창적인 설계와 우수한 성능을 소개했으며,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의 핵심 개념을 비롯해 이를 실현하기 위한 ‘CMI Fixation’ 콘셉으로 고정력을 확보하는 방법과 ALX를 통한 즉시 식립, 즉시 로딩, Early Loading 방법 등도 함께 소개했다. 네오가 새롭게 선보인 ALX는 기존 임플란트와 차별화된 독창적인 바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시술 편의성을 높였다. 또 Narrow한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를 통해 BIC(Bone to implant contact)를 극대화해 즉시로딩에 최적화된 차세대 임플란트다. 특히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손실(Bone Loss)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돼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강연 후 진행된 핸즈온 세션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ALX를 체험해볼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기존 임플란트와 차별화된 독창적인 디자인, 즉시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초기 고정력 확보 방법, 시술 편의성, 정밀한 구조 설계 등을 직접 확인하며 ALX의 우수한 성능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네오 관계자는 “ALX는 8월 정식 출시 이후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세미나를 통해 ALX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ALX 세미나는 오는 12월까지 매월 서울, 인천, 경기, 대전, 대구, 부산, 광주(호남) 등 전국 각 지역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세미나 관련 문의 및 정보는 각 지역 담당 네오 영업사원을 통해 받을 수 있으며, 세미나가 아니더라도 ALX Kit 임상 데모 및 핸즈온 체험 개별 신청이 가능하다.
최소침습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임플란트·골이식 임상 노하우를 전수하는 자리가 열렸다. 코웰메디가 주최한 ‘상악동 & GBR 원데이 솔루션’ 세미나가 지난 8월 30일 코웰메디 서울 삼성캠퍼스에서 개최된 가운데 50여 명이 자리해 열띤 분위기를 이뤘다. 강연자로 나선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은 상악동 접근법부터 터널링 테크닉, 소켓 프리저베이션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며 실전 임상에서 놓치기 쉬운 핵심 포인트를 강조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안전한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노하우’를 주제로 ▲치과의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상악동 해부 및 생리 ▲치과의사 관점에서 본 치성 상악동염 치료 ▲Crestal & Lateral approach ▲상악동 거상술 합병증 및 처치 등 실제 노하우가 공유됐다. 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최소 침습 GBR을 위한 노하우’를 주제로 ▲Flapless bone graft ▲Tunneling technique ▲Alveolar ridge preservation ▲멤브레인 활용법 등이 다뤄졌다. 강연에서는 초기 고정을 전제로 즉시 로딩을 목표로 수술 계획을 세워야 함이 강조됐다. 장호열 원장은 “뼈 이식의 성공은 디펙트 폼(defect form) 분류에서 시작한다”며 “임플란트를 심을 위치와 주변 월(wall)의 개수를 파악해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와 스티키본을 활용한 임상 팁에 대한 설명이 큰 호응을 얻었다. 또 플랩을 크게 열지 않고도 터널링 테크닉을 활용하면 연조직과 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침습 수술’도 소개돼 주목받았다. 장 원장은 “환자의 연령·전신질환·심미적 요구를 고려한 MIS(Minimally Invasive Surgery)가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심미치과학회(이하 심미치과학회) 인정의 교육원이 10년 역사를 빛냈다. 심미치과학회는 지난 8월 24일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산업연구원 대강당에서 인정의 교육원 10주년 학술집담회 및 홈커밍데이를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심미치과학회 인정의 교육원은 심미에 관한 필수 과정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깊이 있는 교육 코스를 운영해 왔다. 또 고시를 통과한 수료생에게만 ‘인정의 펠로우’ 자격을 부여하며, 더 나아가 증례 발표 등 엄격한 심사를 거쳐 얻을 수 있는 ‘인정의 마스터’ 자격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6년 1기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올해까지 인정의 펠로우 자격을 취득한 누적 수료생은 총 344명에 달한다. 마스터 자격 취득 회원은 64명이다. 이날 행사에서 심미치과학회는 이 같은 인정의 교육원 10년 역사를 되돌아봤다. 뿐만 아니라 각 기수가 교육원 수료 후 임상 현장에서 겪은 새로운 궁금증과 고민을 공유하는 뜻깊은 교류 행사도 진행됐다. 더불어 임상 노하우와 교육원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케이스를 발표하고 ‘베스트 심미 케이스’를 시상하는 등 유익한 자리가 조성됐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세월 Season 2 : 대가에게 배우는 교훈’을 주제로 한 학술집담회도 열렸다. 학술집담회에는 김도영 원장(김&전 치과), 성무경 원장(목동부부치과), 이승규 원장(4월31일치과) 등 임상 경력 30년 이상의 대가가 나섰다. 각 연자는 난케이스를 중심으로 세월의 깊이와 통찰력을 느낄 수 있는 강연을 펼쳐 호평을 받았다. 심미치과학회는 “이번 행사는 단순 학술집담회 행사를 넘어, 인정의 교육원 10년 역사를 되돌아보고 교육원을 수료한 각 기수가 궁금증이나 고민을 함께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축제와 같은 분위기로 마무리됐다”며 앞으로도 회원 간 교류를 증진하고 학회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한나래출판사의 ‘코골이 장치, 새로운 시작’이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코골이 장치, 새로운 시작’은 김세훈 경추교합기술연구소장이 저술한 도서로,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 치료에 대해 교합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김세훈 소장은 ‘경추교합기(FEDORA S.H 교합기)’와 ‘코리템플리트(코골이 방지 장치)’를 직접 개발한 경험을 토대로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장치 제작법과 임상 적용 원리를 책에 녹였다. 이 책은 교합 변화가 신체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턱관절 질환, 이갈이, 교합 이상 등 다양한 구강·안면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특히 교합기 활용, FCC(Final Check Clip) 기법, 교합고경 거상, 기도 확장 원리 등에 대한 구체적 절차와 데이터를 담아 임상 실용성을 높였다. 김세훈 소장은 “우리 인체는 기도가 줄어들 때 수면이라는 무의식 상태에서 이갈이, 코골이 등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며 “해당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한 많은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구강 내 장치물을 어떻게 제작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서술한 책이 없어, 작은 지식이나마 도움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밝혔다.
신경치료(엔도)와 레진 수복에 대한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가 담긴 강연이 성황리에 끝났다. 덴티스 플랫폼 OF는 지난 8월 24일 서울 문정캠퍼스에서 ‘CTS 한국치의임상 Field Manual: 엔도·레진편’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임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늘 어렵게 느껴지는 신경치료와 레진 수복을 주제로, 기초부터 실전까지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는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세미나는 두 개 파트로 나눠 진행됐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최민식 원장(서울스마트치과)이 ‘슬기로운 엔도 생활’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날 최민식 원장은 진단과 신경치료 선택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과 임상에서 놓치기 쉬운 포인트를 상세히 소개하고, 참가자들은 증례를 기반으로 A/O 체크, 근관 형성, 충전 등 핸즈온 실습을 통해 엔도의 기초를 탄탄히 다졌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이창훈 원장(인터서울치과)이 ‘쉽게 하는 CLASS II 레진 수복’을 주제로 강의했다. 치료 계획 수립, 레진과 인레이 선택 기준, Isolation & Bonding 전략, Sectional Matrix 활용법, 전치부 레진 수복 디테일 등 임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팁을 공유했으며, 참가자들은 Sectional Matrix 실습을 통해 레진 수복의 완성도를 높이는 경험을 했다. 이번 세미나는 특히 신경치료가 어렵거나 단순하고 쉽게 접근하고 싶은 의료진, 신경치료 후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싶은 의료진, 레진과 인레이 사이에서 치료 계획을 고민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 인접면 레진 수복의 임상 팁을 찾고자 하는 의료진에게 유익한 시간이 됐다.
덴티움 아카데미 터키가 지난 8월 16일 터키 아다나(Adana)에서 현지 파트너 두락덴탈(Durak Dental)과 함께 ‘Immediate Implant Surgery and Immediate Loading: Current Approaches and Digital Workflow’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터키에서 열린 덴티움 최초의 라이브 서저리 세션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세미나는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mmediate Loading, Digital Workflow를 주제로 임상 술식 팁 공유와 임상 시연을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론 강연 ▲핸즈온 트레이닝 ▲라이브 서저리의 세 단계로 구성됐다. Prof. Dr. Ufuk Tatlı는 즉시 식립 및 즉시 부하의 최신 술식을 다뤘으며, Dr. Ali Mutlu Demiroğlu는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한 임상 적용을 소개했다. 또 Dr. İlyas Kurt는 즉시 로딩 관련 임상 경험과 프로토콜을 공유해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라이브 서저리 세션에서는 덴티움의 대표 임플란트 ‘SuperLine 2’를 활용해 Immediate Implantation, Immediate Loading이 현장에서 실연됐다. SuperLine 2는 임플란트 설계 디자인과 표면 처리 기술 덕분에 발치 직후 잔존 골에 안정적으로 식립 가능하고, 초기 고정력이 뛰어나 Immediate Loading에도 적합하다. 이어 디지털 솔루션은 ‘Shining 3D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해 디지털 인상 채득 과정을 시연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철 디자인을 진행해 2시간 만에 임시 치아를 전달하는 Immediate Loading 케이스를 완성했다. 이 같은 실시간 교육 형식은 현장감과 학습 효과를 동시에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덴티움 관계자는 “아다나와 속한 츄쿠로바(Çukurova) 지역은 덴티움이 터키에 처음 진출한 상징적인 장소로, 이번 세미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며 “터키 치과의사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제품과 학술적 지원을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덴티움 아카데미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라이브 서저리 포맷 확대 ▲지역별 세미나 강화 ▲터키치과의사협회(TDB Academy)와의 학술 협력 ▲KOL(Key Opinion Leader) 교류 확대 ▲SNS 콘텐츠 활용 등 후속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을 공유하며 호주 임상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난 8월 23일부터 24일까지 호주 시드니 Sheraton Hyde Park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이번 ‘2025 DIO AU Symposium’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과 최신 보철 접근법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임상 전문가 12명이 대거 참석해 실전 중심의 강연을 펼쳤으며 현지 임상가 200여 명이 참가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첫날 행사는 DeSR 어버트먼트를 활용한 시멘트리스 보철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며 시작됐다. 이 외에도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스캐폴드를 활용한 수직 골재생 기술, 임플란트 주위 조직 재건술, 풀아치 보철 역설계 접근법 등 최신 임상 전략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둘째 날에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풀아치 치료에서의 연조직·경조직 통합 관리법, 기도 협착과 두개골 변형, 부정교합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했으며, 마지막으로 즉시 식립 보철 시 외부 장벽 기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창재 디오 호주법인 법인장은 “임상 현장 중심의 수준 높은 강연을 통해 디지털 임플란트 치료의 현주소와 미래 전략을 한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이번 심포지엄의 성공을 발판 삼아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서 디오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덴티움이 지난 8월 24일, 덴티움 지식산업센터에서 ‘Digital Insight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세미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치의학의 흐름 속에서 임상과 기공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CT, IOS, 보철, 기공, 가이드 제작까지 아우르는 통합 디지털 솔루션을 제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bright Implant 기반의 Digital Minimalism 개념을 소개하며 디지털 진료의 핵심을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첫째, Teeth Oriented 관점에서는 최신 알고리즘을 탑재한 구강스캐너가 Bite Tray 인상채득과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제공하며, 고가의 장비 없이도 B.T.S(Bite Tray Impression) 프로세스를 통해 교합 조정 없이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둘째, Facial Driven 관점에서는 Facial Scanner와 Facial Photo, CT 연조직 파일을 활용한 진단과 보철 제작 과정을 소개했다. 끝으로 CT Centered 관점에서 bright CT를 활용 AI기반의 정밀 진단과 예측 가능한 술식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특히 bright Implant와의 시너지, 그리고 Digital Abutment를 이용한 모델리스 제작 과정을 통해 복잡한 케이스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편의성을 전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또 이훈재 원장(닥터훈치과)은 덴티움의 Shine T Block과 bright 3 Layer block을 활용한 당일 보철 임상을 통해 심미성과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보철 솔루션을 제시했으며, 임상가들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크라운 프렙 과정의 실용적인 팁을 함께 전달했다. 원현두 원장(잠실이사랑치과)은 모델 제작 단계를 생략한 Simple Concept을 소개하며, ‘인상채득–모델제작–보철제작’의 전통적인 과정 대신 스캐너 기반 ‘데이터 획득–디자인–제작’으로 이어지는 효율적인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장점을 강조했다. 임상가뿐 아니라 치과기공사와 밀링센터 시각의 발표도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윤대영 치과기공사(덴티움치과)는 Dentium 3D Viewer의 AI Occlusal Plane 기능을 활용해 AI가 제시한 교합평면과 정중선을 활용한 무치악 및 전치부 보철 디자인 방법과 함께, bright Implant에 최적화된 Digital Abutment 및 Ti-Base의 임상 활용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어 김재경 치과기공사(덴티움 밀링센터)는 CT와 IO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Dentium Digital Guide의 ‘설계–출력–적용’ 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9월 29일부터 적용 가능한 CT Viewer 연동 기능까지 공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One Scan, Total Plan이라는 컨셉처럼 진단에서 수술, 보철까지 이어지는 통합 디지털 솔루션의 가치를 보여줬다. 참가자들은 bright Implant 보철 디자인 핵심, 구강스캐너와 bright CT의 연계 활용 팁, Dentium Digital Guide 제작 사례 등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었다는 평가를 남겼다.
다년간의 턱관절 프롤로테라피 임상 노하우가 담긴 실습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프롤로턱관절연구회 주최 ‘저자를 통해 배우는 턱관절 프롤로테라피 Master Course’ 세미나가 지난 8월 24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진행됐다. 이날 ‘임상 턱관절 프롤로테라피(2024)’ 저자들이 직접 강의와 실습 지도를 맡아, 책으로만 접하던 이론을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었다. 이번 코스는 하루 동안 이론과 실습을 모두 압축한 원데이 집중 과정으로 진행됐다. 오전 이론 강의에서는 연자들의 풍부한 임상 경험이 녹아든 강연이 이어졌고, 오후 실습 세션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시술을 몸소 체험했다. 이날 공승원 원장(굿모닝치과)은 ‘턱관절통증, 프롤로테라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를 주제로, 다년간의 시술 노하우를 환자와 술자의 시각에서 알기 쉽게 풀어냈다. 또 윤현옥 원장(우리치과)은 15년 넘게 축적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포도당 프롤로와 PDRN 프롤로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실제 증례를 통해 통증부터 교합, 저작 기능의 변화까지 보여줌으로써 진단과 치료 방향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조용일 원장(웰컴치과)은 초음파 유도하 주사법과 CBCT 활용을 중심으로, 정확한 진단과 술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치과 임상에 접목 가능한 초음파 활용법을 전달했다. 특히 오후에 진행된 실습 세션은 1:1 맞춤형으로 진행됐다. 이날 모든 참가자들이 직접 시술, 직접 체험을 원했고, 이에 따라 참가자 전체가 서로 상호 실습으로 술기를 몸으로 익혔다. 이번 마스터 코스는 짧은 일정에도 불구하고, 임상가들이 턱관절 치료에 프롤로테라피를 자신 있게 접목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교육 과정으로 평가됐다. 특히 강의장을 가득 채운 현장감 있는 학습 열기는 이번 코스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이 실제 임상에 바로 활용 가능한 교육을 경험하며 만족도가 매우 높아 향후 추가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 사전 접수를 받고 있다”며 “아직 정확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날짜를 공지할 예정이니 관심 있는 임상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