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덴탈 솔루션 전문기업 ‘ALL-CONEC(올커넥)’이 임플란트 제조업체인 Minimax Implant와 지난 6월 25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전문성,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 분야에서의 협력을 본격화하는 계기이자, 장기적인 동반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Minimax는 이번 협약을 통해 올커넥이 개발한 디지털 기공의뢰 플랫폼과 AI 기반 소프트웨어에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특히, 해당 시스템이 제공하는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통합된 디지털 워크플로우, 임상·기공 간 커뮤니케이션 효율성 향상 등이 Minimax가 추구하는 디지털화 전략, 인공지능 접목 전략과 완벽히 부합한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과 기대를 모았다. 양사는 이러한 기술적 시너지를 바탕으로 Minimax 임플란트에 최적화된 전용 서지컬 가이드 키트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 전용 키트는 ‘디지털 플래닝-디자인-제작-시술’로 이어지는 전체 과정이 매끄럽고 정확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특히, 올커넥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수술의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시술자의 편의성과 환자 만족도까지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수술 환경이 구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동 개발한 서지컬 가이드 키트를 기반으로 전용 임플란트 라이브러리 지원, 디지털 소프트웨어 내 자동 연동 기능, 사용자 경험(UX) 개선, 케이스 기반 데이터 축적 및 분석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올커넥 플랫폼을 중심으로 Minimax 제품을 사용하는 전 세계 치과 전문가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서비스 확장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 도입에 그치지 않고 실제 임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치 창출을 실현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올커넥 측은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디지털 덴탈 솔루션의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세계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치과 플랫폼 전문 기업 ‘ALL-CONEC(올커넥)’과 ‘Biotem Implant(바이오템 임플란트)’가 서지컬 가이드의 주문부터 제작·납품까지의 전 과정을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전용 플랫폼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와 병원 운영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구축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서지컬 가이드는 임플란트 시술 시 사전 계획된 위치와 각도에 따라 드릴링을 유도하는 필수적인 보조 장치로, 시술의 정확성과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에는 가이드 주문, 설계, 제작, 납품 등 대부분의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져 일정 지연, 설계 오류, 커뮤니케이션 문제 등의 비효율이 발생해 왔다. 바이오템 임플란트와 올커넥이 함께 개발하는 플랫폼은 이러한 비효율을 해소하기 위해 설계됐다. 치과의사가 플랫폼에 환자의 CT 및 구강 3D 스캔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설계 파일 생성 및 제조 파트너사로 전달, 생산 현황 및 납품 일정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올커넥의 디지털 워크플로우 기술과 바이오템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임상 경험이 결합된 이번 협업은 ▲주문 처리 속도 향상 ▲재작업 최소화 ▲커뮤니케이션 오류 방지 등 병원 운영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정밀하고 표준화된 디지털 임플란트 진료 환경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AI 및 디지털 기술 기반의 공동 개발을 추진하며, 국내외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기반 문서 전자화 기업 악어디지털이 자사의 AI 문서 플랫폼 ‘Mingo’를 통해 병·의원 고객사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악어디지털이 지난 5월 출시한 ‘Mingo’는 ▲AI OCR 전문 텍스트 검색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질의형 AI 검색 ▲메타데이터 추출 ▲사용자별 세부 권한 설정 ▲문서 활용 통계 제공 등 기능으로 종이 문서나 종이 차트를 활용하던 기존 업무의 비효율성을 크게 줄이는 문서 관리 서비스다. Mingo가 SaaS 구독형과 하이브리드형 등 병·의원 IT 환경에 맞춘 유연한 구축 방식을 통해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 있어 출시 이후 실제로 기존 전자문서 솔루션 ‘파인노트’를 사용하던 병·의원 고객사 중 70%가 이미 Mingo로 전환했다는 설명이다. 병·의원 업무 특성상 신규 환자 정보가 지속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문서 전자화와 환자별 맞춤형 인덱스 구성을 통해 하나의 라이브러리에서 환자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병원 인수나 휴·폐업 시에도 진료기록 전자화가 가능해 장기 보관용으로 활용도가 높다. 기존에는 CD나 USB 등에 기록을 보관하고 환자 요청마다 수작업으로 검색·인쇄해야 했지만, Mingo 활용 시 이 과정이 크게 간소화된다. 악어디지털은 자체 디지털센터에서 제공하는 문서 전자화 BPO 서비스의 연계를 통해 기업 문서의 스캔부터 데이터 추출, 활용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병·의원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풍부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용섭 악어디지털 대표는 “당사는 병·의원 전자차트 시스템에 최적화된 문서 추출 및 납품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현재까지 치과·성형외과 등 약 300여 개 병·의원에 전자화 서비스를 공급했다”며 “Mingo는 병·의원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의 전자문서 전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춘 플랫폼으로 향후 기업의 온오프라인 문서를 통합하는 AI 문서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먼리프 임플란트가 지난 9일 베트남 껀터(Can Tho)에서, 10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이틀 연속 ‘SAFE 3.5 임플란트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베트남에서는 4번째, 캄보디아에서는 첫 번째 개최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허먼리프의 입지와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자리였다는 평가다. 세미나는 허먼리프의 프리미엄 제품인 Safe 3.5 임플란트의 Wing-neck 구조 효과와 임상 적용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상악동 거상술, 즉시 식립, 연조직·경조직 상태에서의 수술 등 Safe 3.5를 이용한 세 가지 핵심 수술 기법에 대한 고도화된 임상 노하우가 공유됐다. 강연에는 최동주 원장(라이프치과), 구정귀 교수(분당서울대병원)가 나섰으며 현지 의료진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베트남에서의 4회 연속 세미나 개최는 현지 내에서 허먼리프의 입지가 견고함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또 캄보디아에서의 첫 세미나는 신규 시장 개척의 시작점으로, 허먼리프의 글로벌 전략의 중요한 한 걸음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허먼리프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허먼리프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시장에서의 브랜드 영향력 강화는 물론,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허먼리프의 행보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아침해의료기(이하 ACH Medical)가 지난 6월 25일 열린 ‘2025년 화성특례시 제1회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제2회 화성시 중소기업대상-해외수출 부문’을 단독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번 수상은 ACH Medical이 다년간 꾸준히 추진해온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 확대 전략의 성과를 높이 평가받은 결과이다. 특히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등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 임플란트 제품을 수출하며 총 30여 개국에 진출한 점이 주요 수상 배경으로 작용했다. ACH Medical은 최근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인증 절차를 마무리 중이며, 인증이 완료되는 대로 현지 파트너와 함께 본격적인 판매를 개시할 계획이다. 중국은 물론 아시아, 중동, 유럽 등 다양한 해외 전시회와 현지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ACH Medical은 지난 2023년 경기도 수출프론티어기업에 선정되며 기술력과 수출 기반을 인정받았으며, IDS, AEEDC 등 글로벌 치과 전시회 참가를 통해 바이어와의 접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시술 간소화와 골융합력을 고려한 신제품을 출시하고, 협력 치과 대상 임상 세미나 및 구강보건 기념 기부 활동 등으로 업계 내 신뢰를 쌓아가고 있다. 김용구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우리 제품의 우수성과 임직원의 노력, 그리고 전 세계 고객의 신뢰가 만들어낸 결과”라며 “앞으로도 품질 중심의 수출 전략을 이어가며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K-임플란트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인비절라인이 신제품 ‘Invisalign® Palatal Expander(이하 IPE)’를 선보여 임상가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샀다. 인비절라인은 지난 6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2025 Growth Program Master Day’를 개최했다. 해당 행사는 하반기 Growth Program의 시작이자 인비절라인이 추구하는 맞춤형 성장 전략을 나누는 자리다. 특히 인비절라인은 이날 행사에서 구개 확장 장치 IPE를 공개해 주목받았다. IPE는 새로운 구개 확장 시스템으로 입 천장에 스크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진행 방식은 먼저 아이테로를 활용해 환자의 구강 구조를 스캔 후 각 환자에게 맞는 확장·유지 장치를 3D 프린팅 맞춤 제작한다. 이후 환자의 치아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여기에 맞춰 장치를 탈착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특징 덕에 환자가 장치를 직접 탈착할 수 있어 구강 위생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혀가 낳는 면이 부드럽다는 점도 장점이다. 또 임상가에게는 간단한 워크플로우로 체어 타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 역시 장점으로 꼽힌다. 현장에 참석한 한 임상가는 신제품 발표를 보고 “엄청나다. 기존 확장 장치는 screw 등으로 아이들이 많이 힘들어하는 경향이 있는데 신제품은 그런 것이 없어 깔끔해 보이고 편해 보여 좋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임상가는 “일단 첫인상은 기존의 장치들과 비교해보면 예쁘다는 인상이 있다. 결국 기능과 결과가 동일하면 심미적인 장치에 이끌리게 되는 만큼 인상적이었다”고 전했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치과의사 및 스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펼쳐졌다. 특히 새롭게 출시된 IPE의 임상적 가치와 특장점을 알아보는 강연부터 임상에 있어 크고 작은 이슈들을 해결하는 노하우를 전해 참석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구체적으로 치과의사를 대상으로는 ▲Dr. Sam Lee의 ‘Invisalign® Palatal Expander: changing the paradigm of skeletal expansion’ ▲Dr. Barry Glaser의 ‘Teen treatment strategy with Invisalign®’ ▲Dr. 박홍식의 ‘Growing Smiles, Growing Success: Class Il Treatment from MA to Extractions’ ▲Dr. 최형주·지 혁의 ‘Fireside chat: 무엇이든 물어보살’이 진행됐다. 스텝을 위한 강연으로는 ▲Dr. 김숙영의 ‘Enhancing Clinical Knowledge on Invisalign® Treatment’ ▲DH. 장미나의 ‘Becoming Invisalign® Professional’ ▲황현진 강사의 ‘감정을 공략하는 인비절라인 설득정공법’이 열렸다. 한준호 인비절라인코리아 대표는 “최근 국내 임상가들이 보여주는 전문성, 디지털에 대한 이해도와 환자에 대한 마음가짐이 세계 어느 국가보다 높다는 것을 확신하게 됐다.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며 “인비절라인코리아의 모든 임직원은 국내 교정과의 발전과 환자의 정확하고 우수한 치료를 위해, 다가올 디지털 시대에 맞는 최적의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국 치과 산업이 최근 막을 내린 중국 전시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이하 치산협)은 지난 6월 9일부터 12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 ‘제29회 Sino-Dental 2025’에서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 기업들은 총 251건의 활발한 상담을 통해 905만6000달러(약 124억 원)의 상담액을 기록했으며, 이 중 731만3000달러(약 100억 원)가 실제 계약 추진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보였다. 특히 현장에서는 44만1000달러(약 6억 원) 규모의 계약이 즉시 체결돼 한국 제품의 뜨거운 인기를 실감케 했다. Sino-Dental은 중국을 대표하는 3대 치과 전시회 중 하나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치과 전시회로 손꼽힌다. 매년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해당 전시회는 올해는 ‘디지털 지능이 이끄는 혁신, 미래 치의학을 선도하다(Digital Intelligence Empowered Innovation Leading Future Dentistry)’라는 주제로 진행돼 치과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공유하는 중요한 국제 플랫폼 역할을 했다. 총 5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넓은 전시 공간에는 4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9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해 최첨단 치과 기술과 장비를 선보였다. 독일, 미국, 일본, 스위스 등 주요 국가들이 국가관을 구성했으며, 한국 역시 국가관을 통해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총 23개 한국 기업이 참가한 한국관의 경우 임플란트, X-ray 및 디지털 진단 장비, 근관치료 기기, 교정 장치, 수복재료, 치과용 접착제 등 한국 치과 산업의 핵심 품목들을 대거 선보였다. 특히 한국은 재료 및 임플란트 제품에서 강세를 보이는 만큼 참가 업체들 역시 대부분 해당 제품군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의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에 뜨거운 호응을 보냈다. 유럽의 고가 제품과 중국의 저가 제품 사이에서 한국 제품은 높은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경쟁력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바이오세텍과 덴탈맥스가 협업해 진행한 부스에서는 핸즈온 행사를 운영하며 눈길을 끌었다. 중국 전시회의 경우 핸즈온 행사가 아직 익숙하지 않은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참여자들이 직접 핸즈온에 참여하며 한국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과 만족도를 보였다. KOTRA와 치산협은 전시회 전부터 기업 바이어 유형수요 조사, 바이어 매칭, 현지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안내 등 다방면으로 컨설팅을 제공해 참가 기업들을 적극 지원했다.
㈜신흥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 임플란트 심포지엄 ‘제16회 SID(Seoul Implant Dentistry) 2025’가 대장정의 막을 올린다. 신흥은 오는 9월 7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리는 ‘제16회 SID 2025’의 사전등록을 7월 14일부터 ‘온라인 학술 등록 & 치과재료 쇼핑몰 No.1 : DVmall’(www.dvmall.co.kr)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SID는 국내를 넘어 세계와 소통하는 임플란트 학술대회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담아, 지난해 공식 영문명을 ‘Seoul Implant Dentistry’로 변경한 바 있다. 신흥은 올해 제16회 SID 2025에서 ‘Seoul Implant Dentistry ; Details Meet Insight’를 대주제로 임플란트 진료의 세밀한 기술과 임상을 연결하는 학술 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흥 임플란트 ‘evertis’를 활용해 ▲15~20분 내 마치는 고밀도 임팩트 강연인 ‘Learn with evertis Experts’부터 고난도 증례 중심 강연을 준비하는 등 그동안 축적한 임상 데이터와 최신 지견을 합쳐, 실제 진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깊이 있는 노하우를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SID 관계자는 “올해 제16회 SID 2025는 예년보다 더욱 정교하고 밀도 높은 커리큘럼을 통해 임상가가 놓치기 쉬운 디테일을 관통하는 강연을 준비했다”며 “매년 조기 마감되는 행사인 만큼 사전등록을 놓치지 말고 제16회 SID 2025에 함께해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제16회 SID 2025 사전 등록비는 7만 원이며, 전액 ‘건강한 치과를 만드는 행복 체험 : DV Point’로 적립된다. 또한 SID 2025 등록비는 전액 세계 임플란트 임상 발전에 기여한다는 기치 아래 설립되는 ‘SID 재단(가칭)’에 기부될 예정이다. 행사에 관한 기타 상세 정보는 DVmall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원가에 PDRN 전도사로 나서고 있는 윤종일 원장(연치과, PDRN 면역 재생 치의학연구회 부회장)이 ‘골면역학적 융합(Osteoimmunologic Integration)’이란 개념을 제시하며, 기존 ‘Osseointegration’에 대한 이해를 넘어 골 면역세포 반응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은 ‘골면역학적 융합’이란 용어을 제안하는 관련 논문이 세계적 논문 출판그룹 MDPI(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의 ‘국제 분자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 4.9)’에 게재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윤종일 원장과 김덕규 제론셀베인 대표를 비롯해 김재홍 PDRN 면역 재생 치의학연구회 회장(서울탑치과), 이덕원 원장(더원구강외과치과), 윤수인 씨 등이 저자로 참여했다. ‘조절 T세포와 대식세포에 의한 골융합, 골면역학 및 골면역학적 융합의 중재(Mediation of Osseointegration, Osteoimmunology, and Osteoimmunologic Integration by Tregs and Macrophages: A Narrative Review)’란 제목의 해당 논문은 임플란트 시술 후 일어나는 골융합(Osseointegration) 과정을 조절 T세포(Tregs)와 대식세포(Macrophage)의 골형성 조절 활성을 기초로 해 면역학적으로 해석했다. 특히, 기존 골융합 개념을 한 단계 발전시킨 ‘골면역학적 융합’이라는 용어를 세계 최초로 제안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해당 논문에서 PDRN은 혈관내피생성인자(VEGF)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10) 분비를 촉진하고 조직 재생과 골형성에도 효능이 뛰어나며, 뼈 흡수 관여 단백질(RANKL)로 유도된 골 흡수 억제에도 효과가 있어 임플란트 골융합 및 임플란트 주위염, 치주염에서의 면역 조절과 염증 완화, 골재생에 유력한 후보 약물임을 소개했다. 논문 제1저자인 윤종일 원장은 “임플란트 골융합은 지난 40여 년간 치과계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로 최근 면역학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골융합에 대한 골면역학적 기전이 밝혀지고 있다”며 “기존 임플란트 골유착을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던 것을 생물학적 차원에서 고민하는 단계로 나가고 있다. 면역세포가 골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원장은 “기존 Osseointegration을 얘기할 때 티타늄이 뼈와 붙는데, 어떻게 붙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다. 티타늄과 골의 결합은 면역세포의 조절과정에 의해 붙고, 이에 대한 유지도 결국 면역세포 조절에 의한 것이다. 이제 치과의사들은 이 면역세포 조절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골면역학적 융합 개념의 핵심”이라며 “PDRN은 우리 몸의 병, 노화, 손상 등의 회복경로를 도와주는 DNA 조각(f DNA)으로, 손상된 골조직이 낫는 기전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몸의 면역반응 시 면역·저항능력을 끌어올리고 성장인자 증가를 촉진하는 면역조절 역할을 한다. PDRN은 임플란트의 성공·유지를 위한 골면역학적 조절자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덕규 제론셀베인 대표는 “이번 논문 게재를 통해 연구개발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도 임상가로서 학술적 기여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의약품 및 재생의학 기술을 선도해 나가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며 “조직재생 및 면역조절 기반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바이오 메디컬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넓혀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논문의 원문은 IJMS(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공식 웹사이트, 2025년 6월 5일자 저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단 관련 논문 pdf 참조>
아프로코리아의 치과용 전기수술기 ‘엔도위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치과의사들 역시 엔도위즈 체험을 위해 국내로 입국해 주목된다. 아프로코리아는 지난 6월 26일 인도네시아 임상가들이 자사의 치과용 전기수술기 ‘엔도위즈’ 수련을 위해 한국에 입국했다고 전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이뤄진 방문이다. 이번에 내한한 5인의 해외 임상가들은 4박 5일 일정으로 엔도위즈를 사용하고 있는 예가치과(김경헌 원장), 서울수치과(정승일 원장), 원주치과(김영욱 원장)를 방문해 엔도위즈의 특장점을 직접 눈으로 보고 배웠다. 엔도위즈는 적응증에 맞춰 10가지 Mode별 출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근관치료 외에도 지각과민 처치,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등 다양한 치과 치료에 유용한 점도 장점이다. 아울러 일반적인 전기수술기처럼 연속적인 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과 안정적 파형으로 치수나 치주의 응고, 절개 시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는 점도 특징이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근관치료와 다양한 적응증 치료 과정을 참관 및 수련했으며 엔도위즈 장비 도입 후 의사 입장에서의 실용성과 시술 효율성 부분, 불편했던 케이스 해소 부분 등을 상호 교류하고 의견을 나누는 뜻깊은 자리를 가졌다. 참관한 인도네시아의 한 의료진(Drg. Siti Yoni Hukmini)은 “이번 한국 방문으로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과 시술 과정, 엔도위즈의 활용범위와 치료 결과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엔도위즈는 출시 1년 6개월 만에 600대 이상이 판매될 만큼 국내에서는 치과 치료에 필수 장비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해외 치과계에서도 점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장비로서 엔도위즈의 제품문의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아프로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인도네시아 의료진들의 방문을 적극 환영하며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일본과 베트남, 두바이에 에이전트 계약을 진행 중”이라며 “올해 5개국에서 엔도위즈 수련을 위해 한국 방문 일정을 조율중에 있다. 보다 많은 해외 국가에 수출 기여를 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