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마취과학회(이하 치과마취과학회)가 학회 발전 방향을 위한 다양한 의제를 논의했다. 치과마취과학회 제2차 이사회 및 임원 워크숍이 지난 10월 25일 속초 카시아 호텔에서 개최됐다. 먼저 이번 이사회에서는 각종 보고사항과 함께 5개 안건에 대한 심도 있는 토의가 진행됐다. 구체적으로 ▲학술대회 개최 관련 사항 ▲치과 정주진정법 보험급여 추진 사항 ▲신입회원 입회 승인 ▲FADAS, 의료사고대책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학회인정의위원회 토의 사항 등에 대한 논의가 펼쳐졌다. 특히 치과마취과학회는 최근 기술의 발달과 치의학 분야의 발전, 국시 실기시험에 평가 목표 개정 등이 이뤄진 바 이에 맞춰 치과마취과학교과서를 개정키로 했으며 전문가 의견을 통해 이를 추진키로 했다. 개정 목표 시점은 내년 하반기 또는 내후년 상반기다. 이와 함께 학회 인정의 제도 활성화를 위해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한소아치과학회 등과 교류를 더욱 활발히 하는 방안도 논의됐으며 인정의 학술대회 지원과 인정의 스티커 또는 팻말 등을 지원하는 사업의 필요성도 공감대를 형성해 추후 재논의키로 했다. 치과 정주진정법 보험급여화 추진과 관련해서는 현재 행위 수가가 없는 실정으로 이를 행할 때
대한치과위생사협회(이하 치위협)가 초고령사회에 맞는 노인 구강건강교육자 양성에 나섰다. 치위협은 ‘2025 노인 구강건강교육 교육자 양성 과정’을 지난 9월 27일 치과위생사회관에서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노인의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노인 돌봄 종사자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치위협은 지난해 말 장기요양기관 평가지표에 구강관리 항목이 신설된 후 전문 교육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질 높은 구강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강건강교육 양성 과정을 기획했다. 프로그램은 ‘노인 구강건강교육 표준화를 위한 교육방법 및 매체 활용’이라는 대주제 아래 황윤숙 한양여대 교수의 ‘노인 구강건강 교육의 필요성’, 장효숙 한양여대 교수의 ‘교육 방법 및 시연’ 등 이론과 실습이 결합된,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교육들로 진행됐다.
바텍과 스마일재단이 장애인 환자 진료 불편 완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바텍과 스마일재단은 ‘장애인 환자의 치과 진료 접근성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지난 10월 21일 더스마일치과에서 진행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수구 스마일재단 이사장, 이종하 바텍 연구소장, 김우성 더스마일치과 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바텍이 현재 추진 중인 ‘바운드리스 캠페인(Boundless Campaign)’의 일종으로, 장애인 환자, 고령 환자 등의 치과 진료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바텍은 이번 협약을 통해 ‘그린엑스 21(GreenX 21)’을 기증했다. 바텍에 따르면 ‘그린엑스 21’은 빠른 촬영 속도와 정밀한 영상 품질을 동시에 구현해 환자의 촬영 부담을 최소화했다. 더불어 바텍은 스마일재단과 ‘바운드리스 캠페인(Boundless Campaign)’ 연구도 협력할 예정이다. 스마일재단이 장애인 환자들이 치과 진료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개선이 필요한 사례를 공유하고, 바텍이 해당 사례들을 연구개발 과정에 반영해 제품과 기능을 개선할 방침이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이종하 바텍 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장비 기증이 아니라 환자와 의료진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이하 경희치대)이 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학생들의 임상 술기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 ‘HELPERS 자율실습실’을 구축했다. 본 시설은 학생 주도의 실습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실습 인프라 확충 사업의 일환이다. 경희치대는 기존 실습실을 확장 리모델링해 제2 임상전단계실습실(HELPERS 자율실습실)을 재구축했다. 특히 기존 실습실 한 곳에서 수업·실습·시험·국가고시 준비가 모두 이뤄지면서 발생했던 공간 부족과 기기 고장 문제를 해소하고자 추진됐다. 약 1억 5000만 원이 투입된 이번 공사는 2025년 하계 방학 기간 중 진행했으며 현재 학생들에게 전면 개방된 상태다. 이번 실습실 구축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이는 대학 교육 역량 강화와 전략적 특성화를 지원하는 교육부 재정지원사업으로, 경희치대는 사업에 선정, 학습환경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실습실 명칭인 ‘HELPERS’는 치과대학이 지향하는 핵심가치인 ▲Humanism(인간성) ▲Esthetic(개성과 조화) ▲Leadership(지도력) ▲Progressive Spirit(진취성) ▲Excellence(우수성)
서울지부 강서구치과의사회(이하 강서구회)가 지난 10월 18~19일 열린 ‘허준축제’ 현장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구강검진 봉사활동을 펼쳤다. 허준축제는 조선시대 명의 허준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전통의학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매년 강서구에서 열리는 대표 지역 축제다. ‘동의보감의 고장’을 주제로 의료체험, 전통공연, 건강상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돼 지역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즐기는 건강·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 강서구회 회원 및 치과위생사들은 방문객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상담을 진행하며, 올바른 구강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중요성을 안내했다. 또한 검진 후에는 칫솔·치약세트를 나눠주며 가정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구강위생 관리법을 소개했다. 특히 이번 봉사에서는 ‘덤핑치과의 위험성’을 알리는 홍보 전단지를 배포해, 시민들이 합리적이고 안전한 치과진료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송종운 강서구회장은 “바쁜 일정에도 봉사에 참여해준 회원에게 감사하다”며 “이번 활동이 지역주민의 구강건강 인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기검진 참여율이 낮았던 주민들에게 좋은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이 병원 내 전시 공간을 통해 자연의 위로를 전한다.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은 9월 15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내추럴아트 작가 최엘라의 개인전 ‘발견의 미학(The aesthetics of discovery)’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자연의 색감과 소재를 담은 회화 작품 16점으로 구성됐다. 최엘라 작가는 “자연은 언제든 문을 열고 들어가 쉴 수 있는 포근한 안식처”라며 “작품을 통해 보는 이들에게 편안함과 공감을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품들은 진료를 기다리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시각적 위로와 안정을 전한다. 실제 관람객들은 “자연의 색감과 온기가 병원을 차갑고 긴장되는 공간이 아니라 따뜻하고 친근하게 느껴지게 한다”, “작품을 보며 불안감이 줄어드는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다.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은 이번 전시를 비롯해 ‘언제나 행복(Always happy)’, ‘초록빛 러브레터(Green Love letter)’ 등 다채로운 주제의 전시를 이어오며 병원 내 문화공간 조성에 힘써왔다. 전시는 병원 운영시간 내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손원준 병원장은 “이번 전시는 단순한 미술전시가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가 병원을 치료와 회
개원의들이 현장에서 쉽게 마주할 수 있는 구강악안면외과 관련 난제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자리가 열렸다. 대한구강악안면외과의사회(이하 구강외과의사회)가 2025 추계학술대회를 지난 10월 19일 마곡 오스템 연구소 대강당에서 성황리에 마쳤다. ‘MASGA(make surgeries great always)’라는 대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개원의가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임상 강의로 채워졌으며, 100여 명의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및 개원의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첫 강연은 백영재 원장(늘푸른치과)의 ‘임플란트 주변 vestibuloplasty와 FGG’로 꾸려졌다. 백 원장은 구강전정성형술과 유리치은이식술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김영균 원장(케이구강악안면외과치과)의 ‘치과임상에서 PDRN의 올바른 적용’ 강연과, 최용관 원장(엘에이치과)의 ‘면허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구강내 소소술’ 강연이 펼쳐졌다. 더불어 박규태 원장(고은치과)은 ‘사랑니 발치를 어렵게 하는 것들’을 주제로, 송인석 고려대안암병원 교수는 ‘치과 인공지능 기술 현황 및 연구 성과’를 주제로,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은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완성’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부규 대한구강악
다가오는 2026년의 치과 개원 및 경영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열린다.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가 주최하고 네오엑스포가 주관하는 치과 개원의 및 예비 개원의를 위한 개원 전문 박람회 ‘DENTEX 2026(Dental Opening Information Exibition & Conference, 이하 덴텍스)’이 오는 2026년 1월 11일 코엑스 D홀(3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덴텍스는 ▲개원 기본 경영 ▲개원 필수 임상 ▲참가업체와 함께하는 개원 등 3가지 트랙으로 운영되며, 개원의를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먼저 ‘개원 기본 경영’ 부분에서는 이재윤 원장(신세계치과), 김정욱 대표(케이닥터플랜), 홍준태 원장(논산연산치과), 이민형 세무사(택스홈앤아웃) 등이 연자로 나선다. ‘개원 필수 임상’ 부분의 연자는 노관태 교수(경희대 치과병원), 최유정 원장(최유정치과), 권성준 원장(두손모아치과), 이승근 원장(공릉서울치과), 박창진 원장(미소를 만드는 치과), 남궁인 교수(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참가업체와 함께 준비하는 개원’ 부분의 연자는 조대현 원장(온아치과), 송영국 대
일본 사례를 통해 고령자 및 장애인 구강관리 교육법을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구강위생관리학회가 ‘2025 종합학술대회’를 지난 10월 18일 서울 김안과병원 명곡홀에서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일본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미래’를 주제로 이론뿐 아니라 라이브 시연까지 종합적으로 진행돼, 임상의 치과위생사들에게 유용한 팁을 전달했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일본 이시카와 유미 교수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고령자 및 장애인의 구강관리 교육법’ 강연이 마련됐으며,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1회 사진 공모전’도 진행됐다. 정은지 학생(강원대)이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김서연 학생(대전과학기술대)과 정은지 학생(대전과학기술대)이 우수상을 수상했다. 더불어 노인 및 장애인 구강관리에 필요한 산업체가 함께 동참해 교육 및 전시 부스를 통해 참관객들을 맞이했다. 오상환 대한구강위생관리학회 회장은 “지난 1년간 함께해 준 학회 임원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튼튼한 기반을 다지게 됐다”며 “사진 공모전을 통해 학생 참여를 유도했으며, 관련 업체를 발굴해 실습 교육을 하는데 원활한 역할을 하도록 한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치과 수면의학 분야 인공지능(AI) 도입에 관한 최신 연구는 물론 임상 노하우를 다루는 학술대회가 찾아온다. 2025년도 대한치과수면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오는 11월 30일 중앙대학교병원 중앙관 4층 강의실에서 개최한다. ‘AI와 디지털 기술이 여는 맞춤형 치과수면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총 4개의 테마 세션으로 강의가 진행된다. 우선 첫 세션 ‘다양한 수면질환의 이해와 진단’에서는 최재원 교수(노원을지대)가 ‘잠 못 자는 병, 불면증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를, 박도양 원장(더웰병원)이 ‘PSG Interpretation for OSA: From Manual Scoring to AI-Driven Auto-Scoring’ 주제 강연을 펼친다. 두 번째 세션 ‘혁신적 치료와 개인 맞춤형 접근’에서는 Dr. Mai Miyachi(DENTISTRY TOKYO SINCE 1925, Institute for Dental Sleep Medicine)가 ‘Dental Sleep Medicine for Enhancing Individual Well-Being: A Whole-Person Approach and Utilizing Digital Te
임플란트 치료에 관한 다수 임상 케이스와 치료 노하우가 담긴 학술대회가 성공적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KAID)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0월 26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8층 한화홀과 서정선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불가능한 임플란트 진료, KAID에서 가능하게’라는 대주제 아래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수 연자가 참여해 강의를 펼쳤다. 이날 특히 김수홍 원장(그대를위한치과)은 ‘골형성단백질과 임플란트 혁신 : 골재생에서 즉시 부화까지’ 주제 강연을 통해 골형성단백질 2형 용액을 친수성 임플란트 표면에 도포해 식립하면 수평 수직 골증대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덕원 원장(더원구강외과치과)이 ‘약물골괴사증과 PDRN’ 주제 강연을 펼치며 MRONJ 치료는 단순히 괴사 조직을 제거하는 것에서 나아가, 괴사 조직 주변의 염증 환경을 해소하고 새로운 혈관 및 골조직 재생 유도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또 오전 세션에서는 ▲윤종일 원장(연치과)의 ‘임플란트와 골면역학: PDRN의 역할’ ▲염한결 교수(원광대)의 ‘임플란트 식립 전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에서 놓치지 말아야할 소견’ ▲김조은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의 ‘임플란트 식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