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강이 유엔(UN) 비감염성질환(NCDs) 및 정신건강 의제에 사상 처음 공식 포함됐다. 세계치과의사연맹(FDI)은 지난 9월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4차 UN 비감염성질환 및 정신건강 증진 고위급 회의(UN HLM4)에서 채택된 정치선언문(Political Declaration)에 구강질환이 명시됐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 치과계가 10여 년간 추진해 온 글로벌 구강건강 의제화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 정치선언문은 2025년 이후 비감염성질환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글로벌 행동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초안(Zero Draft) 단계에서는 구강건강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FDI와 국제치과·구강·안면연구학회(IADR) 등 국제 구강건강 단체들의 지속 노력과 회원국 연대 활동을 통해 최종안 본문(10·11쪽)과 서문(2·6쪽)에 모두 구강질환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그밖에 정치선언문에는 2030년까지 비감염성질환과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구체적 목표와 담배·가공식품·트랜스지방 등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규제 강화 방안이 포함됐다. 미국의 반대로 즉석 채택은 무산됐지만, 다수 회원국의 지지로 조만간 결의안 형태로 공식 채택될 전망이다. FDI는 “NCD 논의 역사상 구강질환이 명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의 필수 구성요소로 공식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FDI는 니콜라이 샤르코프(Asst. Prof. Dr. Nikolai Sharkov) 회장을 비롯해 엔조 본도니오니(Enzo Bondioni) 사무총장 등 대표단을 파견, 각국 대표단과 WHO·NCD Alliance 등 주요 보건 기구와 협의를 진행하며 구강건강 의제 반영을 설득했다. 회의 기간 FDI는 ▲설탕섭취 감축을 주제로 한 ‘Time to Act on Sugars’ 공동행사 ▲자가치료(Self-care) 라운드테이블 ▲항생제 내성(AMR) 대응 세션 등 다층적 활동을 펼쳤다. 니콜라이 샤르코프 회장은 “세계 구강건강의 날(World Oral Health Day)을 통해 매년 수십억 명에게 자가 구강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며 “안전하지 않은 DIY 치과시술의 위험성도 함께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웬디 톰슨(Dr. Wendy Thompson) FDI 항생제내성팀 위원장도 “구강질환 예방과 치과 접근성 향상은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핵심 전략”이라며 각국 정부와 치과의사협회의 협력을 요청했다. 엔조 본도니오니 사무총장은 “보건부뿐 아니라 교육·재무·노동 등 다양한 부처가 함께 참여해야 국가 구강보건정책이 성공할 수 있다”며 “지속적 연대와 통합적 접근을 통해 ‘모두를 위한 구강건강’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투명교정 시술에 대한 과장 홍보로 수 천 명의 환자들에게 100억 원 이상의 피해를 안겼던 투명치과 사건이 대법원에서 파기 환송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다시 법적 판단을 받게 됐다. 대법원은 지난 16일 투명치과 K원장에 대한 사기죄, 업무상과실치상 등 유죄에 관해 징역 2년 10개월 실형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다. K원장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5년여 간 투명치과를 운영하며 SNS 등을 통해 마케팅을 진행, 환자 수 천명으로부터 124억 원 이상의 교정 시술비를 받았다. 이후 지난 2018년 5월부터 진료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수일간 휴진하고, 일부 환자들을 대상으로 선착순 내지 예약 인원에 대한 부분적 진료만 진행하다 돌연 문을 닫아 환자들에게 큰 피해를 안긴 바 있다. 결국 K원장은 지난 2018년 환자 다수로부터 의료법, 의료기기법 위반 및 사기 혐의로 고소됐으며, 지난 2020년 검찰로부터 사기, 업무상 과실치상, 의료기기법 위반 등의 혐의로 불구속기소 돼 서울중앙지법 공판 절차에 회부, 재판에 올랐다. 1심 재판부는 지난해 K원장에 대한 사기 및 업무상과실치상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그 외 일부는 유죄로 징역 1년과 집행유예 2년, 벌금형 100만 원 판결을 내렸으며, K원장이 대표이사인 A업체에게는 벌금형 1000만 원을 선고했다. 이에 검찰이 항소해 2심(항소심)에서 유죄로 2년 10개월을 선고하며 원심이 뒤집혔다. 그러나 이번에 대법원에서 유죄 부분 파기환송 판단을 내리면서 최종 법적 판단을 기다리게 됐다. 한 피해자는 “어렵게 얻어낸 유죄 판결을 다시 돌려놓는다고 하니, 답답하고 참담한 심경”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K원장은 지난 5월 “사기를 치려고 한 건 아니지만 어떻게 하다 보니 환자들이 피해를 입었다. 환자들에게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3년간 마약류통합 관리시스템을 통해 마약류 오남용·과다처방으로 행정조치(처방·투약 금지 명령)를 받은 의사는 397명이었으며 최종적으로 22명이 행정처분 의뢰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송파구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조치기준 시행 이후 사전알리미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의료용 마약류 처방 기준을 초과한 의사는 총 1만82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분별로는 졸피뎀이 493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식욕억제제 3072명, 항불안제 970명, 진통제 954명, 프로포폴 888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해당 처방을 반복하여 행정조치(처방·투약 금지 명령)를 받은 의사는 397명이었으며, 최종적으로 행정처분 의뢰된 의사는 22명이었다. 2023년부터 현재까지 오남용 조치기준을 위반해 영구적 취급금지 처분을 받은 의사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인순 의원은 “매년 1억 3천만 건의 데이터가 마약류통합 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되고 있는 만큼, 빅 데이터를 제대로 관리하고 활용해 마약류 오남용을 적극적으로 방지해야 한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전알리미 등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한 조치를 적극 활용해 의심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실천 치과의사연합(대표 박창진)’이 협회장 직무대행 체제에 치협 선출직 회장단 당선무효 재판과 관련한 항소를 포기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의실천 치과의사연합은 지난 21일 ‘혼란을 넘어 화합으로, 협회 정상화를 위한 대승적 결단을 촉구한다’는 제하의 성명을 통해 “직무대행 체제의 최우선 과제는 협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회무를 조속히 정상화하는 것이다. 항소포기 결단을 통해 법원의 판결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의실천 치과의사연합은 지난 소송 과정에서 협회 공금이 법적 대응 비용으로 사용된 부분을 지적하며, 법원에서 치협 선출직 회장단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인용 판결의 채무자로 협회가 아닌 개인 4인을 명시한 것은 치협의 법무비 지출이 상식과 윤리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았음을 객관적으로 판단해준 것이라고 밝혔다. 정의실천 치과의사연합은 “직무대행 체제가 항소 포기라는 용기 있는 결단으로 새 출발의 문을 활짝 열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로 전체 치열을 함입시켜 무턱 환자의 안모를 개선하는 치료가 성인보다 청소년에게 효과가 크다는 국내 연구진의 발표가 해외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otal arch intrusion treatment in adolescents and adults: A pilot study’를 연제로 미국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 최근 호에 게재됐다. 저자는 정민호 원장(아너스치과교정과)이다. 정 원장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핵심은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활용한 ‘전체 치열 함입(Total arch intrusion)’ 치료를 성장기 청소년에게 실시할 시 성인보다 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를 함임시키면 저작 운동 시 하악(아래턱)의 운동 폭이 커지는데, 이때 턱 끝이 앞으로 나오면서 안모(얼굴 형태)가 개선된다는 설명이다. 특히 청소년은 성인과 달리 턱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는데, 이 때문에 개선 효과가 더욱 커진다고 정 원장은 설명했다. 정 원장은 현재까지 총 61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에서도 이번 연구를 포함해 총 30편의 SCIE 논문 저술에 참여했다. 또 현재 대한치의학회 기획이사, 대한치과교정학회 평의원 등으로도 활동 중이다.
“어릴 적에는 말을 너무 더듬어서 별명이 ‘반벙어리’였어요. 국어 시간이 제일 괴로웠죠. 그런데 지금 돌이켜보면, 그 시간이 저를 단단하게 만든 것 같습니다.” 세계적 구강암 연구자이자 18년간 미국 UCLA 치과대학 학장을 역임하며 UCLA 100년 역사에서 두 번째로 오랫동안 학장직을 수행한 박노희 UCLA 명예 학장이 최근 자서전 ‘당신은 그 길을 끝까지 갈 수 있습니다’(영어명 Turning Points: Moments That Shaped Me)를 펴냈다. 책에는 성공담보다, 실패와 시련, 이를 딛고 일어선 과정이 세밀히 기록돼 있다. 박 학장은 “삶의 전환점은 언제나 위기에서 시작됐다”며 운을 뗐다. 충북 단양의 가난한 시골 소년이었던 그는 학창시절 말을 더듬어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았다. 국어 시간에 책을 읽으라 지명받는 것이 가장 두려웠고, 친구들의 웃음은 상처로 남았다. 그러던 어느 날 학교 대표로 라디오 방송에 나가 노래를 부른 경험이 인생을 바꾸는 순간이 됐다. 박 학장은 “말은 더듬는데 노래할 때만은 안 그랬다. 그날 이후로 약점을 숨기지 말고 극복하자고 마음먹었다”고 회고했다. 훗날 하버드대 시절, 말을 더듬으면서도 당당히 강의하는 예일 의대 교수를 보면서도 그는 약점은 부끄러움이 아닌, 극복의 출발점임을 깨달았다. 어린 딸과 아내를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갔던 시절은 ‘편견과 의심’과의 사투였다. 박 학장은 “실험이 끝나면 백인 교수가 개똥을 치우라고 시켰다. 너무 치사하고 억울해서 아내에게 ‘내일이라도 한국으로 돌아가겠다’는 편지를 썼다”고 떠올렸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연구에 몰두했고, 교수들과 공동연구를 이어갔다. UCLA로 자리를 옮긴 뒤에는 7000만 달러가 넘는 연구비를 유치하며 손꼽히는 연구자로 성장했다. UCLA 치대 학장 시절 그의 활약은 더욱 돋보였다. 학장으로 임명될 당시 학교는 150만 달러의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그는 1년 만에 모든 빚을 갚았다. 이후 UCLA 치과대학을 미국 내 가장 재정이 건전한 단과대학으로 만들기도 했다. 또 재정 개혁뿐 아니라 석좌교수 제도와 교수평가 체계 개편을 도입해 지속 가능한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 때론 ‘과격한 리더’라는 비판도 따랐지만, 그는 UCLA의 체질을 완전히 바꿔놨다. 박 학장은 “불필요한 인력은 정리하고 수익 구조를 바꿨다. 학장은 학자이면서 동시에 비즈니스 매니저여야 한다는 걸 절감했다”며 “한정된 자원을 미래를 위해 써야 한다”고 밝혔다. 그의 연구 인생도 위기 속에서 피어났다. 바이러스와 암의 연관성을 연구하던 시절,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학회에 하루 늦게 도착한 것이 전환점이었다. 그 영감은 세포주기(cell cycle) 연구로 이어졌고, 다단계 암 발생의 기전을 규명하는 세계적 성과로 발전했다. 최근 그는 GV1001 기반의 미토콘드리아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박 학장은 “새로운 걸 개척하지 않으면 연구는 멈춘다. 옛 주제만 붙드는 건 퇴보”라고 꼬집었다. 지난 10월 2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에서 열린 그의 자서전 출판 기념식에서는 100여 명이 참석해 그의 삶의 여정을 축하했다. 그는 이번 자서전을 ‘나를 도와준 사람들에게 보내는 감사의 헌사’라고 표현했다. 그를 여기까지 이끈 힘은 무엇인가 돌아보니 수많은 이들의 도움이 있었다는 것. 박 학장은 “인생의 전환점마다 함께한 사람들에게 마음으로 인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인생의 길을 묵묵히 걸어갈 수 있었던 이유로 ‘사람과 인연’을 강조한 그는 한국의 치과계 후배들에게 세 가지를 당부했다. 박 학장은 “치과의 본질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있다. 경제적 성취보다 진정성 있는 진료가 결국 치과의사의 가치를 결정한다. 연구와 학문적 발전에도 꾸준히 힘써야 한다. 후배들이 경쟁자가 아닌 새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동료 학자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끝으로 한국 치과계 전체가 협력과 상생의 문화를 만들고, 공동체적 기여를 바라보며 길을 걷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역설했다.
새 정부 들어 봉합 국면으로 전환하는 것처럼 보였던 의정 갈등이 다시금 불거질 조짐이다. 최근 국회에서 발의한 일련의 법 개정안이 도화선으로 작용했는데, 지난 16일에는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회장이 직접 기자간담회에 나서 투쟁을 시사한 데 이어, 20일에는 의협 임시대의원총회까지 공고되며 분위기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이번 의협의 투쟁에는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 허가를 골자로 한 의료법 개정안과 검체검사 위‧수탁 제도 도입 문제가 핵심으로 자리한다. 또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 아래’를 ‘지도 또는 처방‧의뢰에 따라’로 변경하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일련의 법률개정안도 부채질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김택우 의협 회장은 “의협 집행부는 이제까지 상대의 선의와 이성을 기대하며 국민께 걱정스러운 모습을 보이지 않고 소통과 합리적 방안으로 현안 해결해 노력해 왔다”며 “하지만 지금 보여지는 직역단체의 행태와 무책임한 국회를 보며 자괴감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회장은 “제2의 의정 갈등이 벌어지지 않을지 우려스럽다”며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목표는 의료법을 어기면서 달성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국회의 입법자들이 되돌아보기를 바란다”고 고조된 분위기를 드러냈다. 의협 임시대의원총회는 10월 25일이며, 이 자리에서는 비상대책위원회 설치의 건을 비롯해 여러 측면의 투쟁 관련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16~18일 하와이에서 열린 2025 Western Orthodontic Conference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Arthur A. Dugoni Lifetime Achievement Award’를 수상했다. 이 상은 Pacific Coast Society of Orthodontists(PCSO) 소속 약 3300명의 회원 중에서 20년 이상 임상 경력을 가진 교정 전문의 가운데 치과교정학의 발전에 탁월한 공헌을 하고 최고 수준의 윤리적 기준을 실천한 인물에게 수여된다. 수상자는 매우 엄격한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매년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있을 때만 수여되는데, Straight-wire appliance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은 Lawrence Andrews가 2006년에 처음 수상한 후, 박재현 교수가 12번째로 수상하게 됐다. 이 상은 미국 교정학계의 거장인 Arthur A. Dugoni(1925–2020) 박사의 이름을 따서 제정됐다. 그는 University of the Pacific Arthur A. Dugoni School of Dentistry의 전 학장으로, 인간 존엄성을 중시한 치과 교육 철학을 확립하고, 미국교정학회(AAO)와 PCSO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로 널리 존경받고 있다. 이 상은 그의 철학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PCSO 최고의 영예상이다. 박 교수는 현재 하버드대학교 치과대학과 경희치대의 객원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 미국교정학회지(AJO-DO) 및 AJO-DO Clinical Companion의 아시아인 최초 편집장(Editor-in-Chief)으로서 국제 학술 활동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박 교수는 미국 교정전문의협회(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ABO)의 직전 회장(Immediate Past President)으로서, 미국 교정학계의 윤리적 기준 확립과 학문적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치과의사들의 밴드가 모여 올 한해 쌓인 스트레스를 모두 날려버릴 무대를 선보인다. 치과의사 밴드연합회 덴탈사운드(이하 덴탈사운드)가 오는 11월 1일 오후 6시부터 서울 송파에 있는 DNG홀에서 제14회 정기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는 총 7개 밴드(닥터블루재즈클럽, 오렌지플래닛, 게미소닉, 까르페디엠, 블루투스, After June, 몰라스포에버)가 참여한다. 이들은 총 21곡의 노래를 통해 치과계의 단합을 외치고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닥터블루재즈클럽은 <Autumn Leaves>, <Black Orpheus> ▲오렌지플래닛은 <상승>, <파이브>, <기타를 잡아> ▲게미소닉은 <언제부터였을까>, <쉬운 말로>, <침묵의 봄> ▲까르페디엠은 <Drowning>, <Crazy Train>, <Endless Rain> ▲블루투스는 <Strainger by the Day>, <나는 나비>, <나에게로 초대> ▲After June은 <Hysteria>, <바람의 노래>, <너에게 닿기를> ▲몰라스포에버는 <Have you ever seen the rain>, <비처럼 음악처럼>, <Changing> 등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공연은 최근 경기 악화로 고통받는 개원가의 스트레스를 날리고 다가오는 연말을 준비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덴탈사운드가 준비한 다과와 이벤트 등도 펼쳐져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 직원, 가족들까지 하나 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이의석 덴탈사운드 회장은 “치과의사 락 밴드 축제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보내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드린다. 또 치협과 서울지부의 지원에도 깊이 감사드린다”며 “덴탈사운드는 치과계 내에서의 화합뿐만 아니라,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문화제의 일환으로 밴드음악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관객과 함께 하나 되는 진정한 화합의 무대를 만들어보겠다. 다 함께 즐겨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의료법인 사과나무의료재단 사과나무치과병원(이하 사과나무치과병원)이 햇빛촌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햇빛촌센터)와 지난 14일 지역사회 장애인의 구강건강 증진 및 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 장애인에게 전문적인 치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양 기관이 상호 협력해 공동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협약의 대상은 사과나무치과병원 주엽 본원과 햇빛촌센터 이용인 및 소속 활동지원사다. 주요 협약 내용은 ▲장애인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협력 및 지원 ▲센터 이용인과 활동지원사 대상 비급여 진료비 일부 조정 혜택 ▲장애인 관련 의료·복지 정책 정보 공유 ▲사과나무치과병원의 장애인 대상 사회공헌 활동 내용 센터 이용인에게 홍보 등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사회 내 장애인의 구강건강 관리와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일산 주엽동에 위치한 사과나무치과병원(주엽본점)은 7개의 전문 치과 진료과와 내과·가정의학과, 각 분야별 전문의들이 협진 진료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 해외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해 의료 한류에도 일조하고 있다. 사과나무치과병원 관계자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장애인의 건강과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뜻깊다”며 “전문적인 치과 진료와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