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14~19일 이탈리아 3개 치과대학과 치과교정학회(Italian Society of Orthodontics·SIDO) International Annual Congress의 연자로 초청돼 열강을 펼쳤다. 강의와 함께 Angle-net Comes Alive in SIDO Symposium의 좌장을 맡으며 학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올해로 55주년을 맞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는 이탈리아 Florence에서 열렸으며, 올해 주제는 ‘BUILDING BRIDGES FOR THE FUTURE’를 주제로 진행됐다. 박 교수는 ‘The Quest for Excellence: What Defines Great Results?’라는 주제로 강의를 성황리에 진행했다. 또 박 교수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 방문에 앞서 UNIVERSITY OF MILAN, UNIVERSITY OF NAPLES FEDERICO II, UNIVERSITY OF FERRARA 등 3개 치과대학 교정과 초청 강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박재현 교수는 “이탈리아 현지 치과의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세계의 치과의사들에게 최신의 지견을 전달하는데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재현 교수는 현재 전미주 미국교정전문의협회(ABO)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치과 교정 학회지 중에 Citation index가 가장 높은 미국치과교정학회지(AJO-DO)의 Deputy Editor-in-Chief로도 활동하고 있다. 2032년에는 전미주 Angle Society 회장으로 취임한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 종합포털 덴올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올해 마지막 강연을 대한턱관절교합학회(이하 교합학회)와 함께 한다. 임상 교합과 관련한 내용을 연자가 쉽게 풀어 전달하는 형태로 시청자들과 소통을 통해 콘텐츠를 구성할 예정이다. ‘Bridging the gap between TMD and Clinical Occlusion’를 대주제로 진행될 이번 수요세미는 오는 11월 6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14개의 흥미로운 강연을 이어간다. 참여 연자는 박 찬 교수(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송주현 교수(조선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김소연 교수(경북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이선기 교수(원광대 대전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서재민 교수(전북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송영균 교수(단국치대 치과보철학교실), 홍성진 교수(경희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김재영 교수(연세치대 보철과학교실), 공현준 교수(원광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최영윤 교수(수원과학대 치위생과), 김기서 원장(연세김치과의원), 명양호 원장(바른명치과의원), 박형욱 원장(연세이도치과의원), 박근정 진료지원실장(국군수도치과병원) 등이다. 특히 ▲11월 6일 송주헌 교수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교합 채득 노하우’ ▲11월 13일 이선기 교수가 강연하는 ‘임플란트를 활용한 하악 무치악 교합 만들기’ ▲11월 20일 송영균 교수의 ‘임플란트 교합 기본기 다지기’ 등이 주요 강연으로 꼽힌다. 해당 강연은 개원가에서 즉각적으로 적용 가능한 유익한 내용들로 구성돼 있다. 올해 17주년을 맞은 '수요세미나는 지금까지 총 11개 학회와의 협업을 통해 치의학 저변 확대에 기여해 왔다. 내년 1분기에는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와도 협업할 계획이다. 수요세미나는 매주 수요일 오후 8시에 라이브스트리밍으로 진행되며, 실시간 채팅을 통해 연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 채팅에 참여할 경우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커피 쿠폰을 받아 볼 수 있으며 모든 방송은 치과 종합포털 덴올을 통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김성택 교합학회 회장은 “개원의들이 평상시에 관심을 가졌던 TMD, 그리고 임상 교합에서 어려운 점이 많았던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14명의 연자들과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시청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지난 4월 27일부터 9월 29일까지 진행한 ‘2024 GAO AI Course(All about Implant)’ 정규코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정규코스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총 12회에 걸쳐 청담 GAO 세미나실에서 진행됐으며, 허영구 원장(닥터허치과), 이성복 명예교수(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 등 GAO 패컬티 총 21명의 치과 전문의들이 연자로 참여했다. 연자들은 ▲임플란트 치료 ▲무치악 임플란트 치료 ▲발치즉시식립 ▲Implant Complications ▲GBR을 주제로 최신 임상 정보와 풍부한 노하우를 전수해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냈다. MZ세대 치과의사들이 다수 참여한 이번 세미나는 활발한 의견 교환과 심도 있는 실습 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도 했다. 또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와 네오의 다양한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만족도를 더했다. 특히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위한 최적의 임플란트 초기 고정력 이론 ‘CMI Fixation’을 가능하게 해주는 ‘IS-III’ 임플란트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AnyCheck’, 스크류 홀이 없는 차세대 임플란트 보철 ‘YK Link’를 비롯해 디지털 가이드 솔루션인 ‘Neo NaviGuide’, ‘VAROGuide’와 토탈 리페어 솔루션 ‘All-in-One Remover Kit’ 등 네오만의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개발된 다양한 제품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돼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정규코스에 참가한 한 임상가는 “라이브 서저리와 실제 임상 케이스를 통해 최신 보철 트렌드인 ‘YK Link’를 직접 경험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며 “기존 임플란트 보철 방식과는 다르게 스크류 없이 보철물을 강력하고 쉽게 체결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네오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강연에 참여해 열정적인 반응을 보여줬다”며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과 기대에 힘입어 내년에도 GAO AI Course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제22회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교실 학술강연회가 ‘치료 성공을 위한 숨은 리스크 관리’라는 대주제로 오는 12월 1일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강연회에서는 분야별 전문가가 연단에 올라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한 노하우를 전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전에는 ‘치과 진료 현장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뢰가 필요한 분들을 알아보는 법’(왕성민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성공적 진료의 기본 – 감염 리스크 피해가기’(이의석 고대구로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근관 치료와 치성 상악동염:진단과 처치’(정일영 연세치대 치과보존과 교수),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supracrestal complex’(김선재 연세치대 보철과 교수) 등 강연이 펼쳐진다. 오후에는 ‘상악동 골이식술의 결과와 관련 위험요소’(권용대 경희치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아뿔사 치아 원인이 아니네- 비치성 통증의 원인 및 해결책’(장지희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 교수), ‘Risk management of asymmetrical occlusion by using TADs’(이주영 플러스원치과교정과치과의원 원장), ‘투명교정 치료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지 혁 미소아름치과의원 원장) 등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이번 학술강연회 사전 등록은 오는 11월 25일까지며, 수강자는 치협 보수교육 점수 4점(필수교육 1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모성서 학술대회장(여의도성모병원 교정과 교수)은 “위험 최소화, 성공적 치료 결과는 모든 치과의사의 목표일 것”이라며 “이번 자리는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위험 상황을 예측하고 대비해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적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했다.
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근기능 치료 원리와 훈련·치료 방법을 설명한 책이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를 이용한 부정교합의 관리’ 도서를 출간했다. 이영규, 윤덕영 원장 외 1인을 저자로 한 이 책은 기존의 구강내 장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가 도입된 이후 프리올소 장치 설명과 이를 응용한 근기능 교정치료에 대한 기존 자료에 미진함을 느껴 발간했다. 이 책은 기본적인 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근기능 치료의 원리와 훈련 방법,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의 특징과 이를 이용한 임상 증례를 살펴본다. 더불어 성인의 수면무호흡과 코골이를 개선할 수 있는 근기능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는 입술을 다물고 혀를 전상방에 위치시키는 훈련에 많은 도움을 주고, 구강 근기능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이다.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는 악정형 교정장치에 비해 장치가 간단하고 착용 시간이 8~10시간 정도로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정교합을 야기하는 환경적인 요인을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출판사 관계자는 “이 책이 근기능 교정치료에 관심 있는 독자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며 기대감을 밝혔다. ■저 자: 이영규, 윤덕영, Otsuka Atsushi ■감 수: 성재현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영구치열 상악전돌 교정치료의 최신 임상 개념과 장치 특성을 담은 책이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에서 최근 ‘임상교정 시리즈 16: 영구치열 상악전돌의 교정치료’ 도서를 발간해 눈길을 끈다. 한금동, 최 진 원장이 역자로 참여한 이 책은 Quintessence Publishing Co.에서 매년 출간하고 있는 ‘임상가를 위한 교정 시리즈’ 중 2016년도 판이다. 이번 특집의 주제는 ‘영구치열 상악전돌의 교정치료’로 총 3부로 나뉘며 상악전돌 치료의 최신 임상 개념과 장치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 제1부는 10개의 스터디 그룹이 각기 영구치열 상악전돌 증례에 대한 접근법과 High pull J hook 헤드기어 등 기구를 이용한 치료 내용을 실었다. 제2부에서는 6개 관련 기업의 협력하에 회사별 제품의 특징과 그 제품을 사용한 임상 예를 소개한다. 3부에서는 장기 증례를 다뤘고, 해외 논문 편에서는 교정 처치로 인한 통증을 다룬 인도 저자들의 번역 논문을 실었다. 마지막 학회 초록 편은 저출산·고령화 교정치과 치료 전략을 다룬 일본 교정치과학회 학술대회 사후 초록을 수록했다. 그 외 해외 학회 리포트도 수록해 주제에 대한 폭넓은 시각과 접근법을 제시한다. 출판사 측은 “매년 특정 주제로 다양한 필자진을 모아 치료법, 치료도구, 임상 예를 다루기 때문에 보다 깊이 있게 해당 주제에 접근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라고 말했다. ■저 자: Eiichiro Asano 외 23명 ■역 자: 한금동, 최 진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디지털 덴처의 방향성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강연이 찾아온다. 신원덴탈이 이보클라 비바덴트와 손잡고 오는 12월 1일 신원덴탈 세미나룸에서 ‘2024 BPS USER DAY’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제는 실천! 디지털 덴처 – The Evolution of Digital Dentures!’를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6명의 연자가 나선다. 이훈재 원장(닥터훈치과의원)과 김경민 소장(아이디치과기공소)이 ‘Digital Denture 이제는 일상으로’를, 박지만 교수(서울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와 강남길 기사(서울대치과병원 기공실)가 ‘Digital Denture: 효과적인 임상 활용법’을, 박중석 소장(덴처팩토리치과기공소)이 ‘Aesthetic is Harmony’를, 이시영 소장(투엘치과기공소)이 ‘5년동안 경험한 우리의 디지털 덴처이야기’를 주제로 강의한다. 디지털 치의학 시대가 오면서 디지털 덴처가 기존 방식의 덴처 제작법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에 맞춰 이번 세미나에서는 현재 디지털 덴처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는 것은 물론 검증된 이보클라 BPS 디지털 덴처 시스템을 포함, 디지털 덴처의 방향성을 자세히 제시할 예정이다. 이훈재 원장은 “현재 틀니를 제작할 때 아날로그로 제작하고 있는 이들이 많다. 손으로 일일이 다 제작을 하는데, 이제는 이를 전부 다 컴퓨터로 작업해서 디지털화하는 것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다룬 세미나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지금 디지털 덴처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관한 임상을 공유하자는 데 취지를 뒀다”고 설명했다. 문의: 010-5846-3203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이하 KAOMI)가 지난 9월 7일부터 11월 2일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한 ‘임플란트 아카데미(이하 KAMY)’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임플란트 MBTI, 나에게 맞는 임플란트 찾기’를 주제로 개최된 KAMY는 총 25명의 연자 및 faculty를 구성, 임플란트 수술, 보철 및 유지관리 분야에 대해 심도 있는 세미나를 진행해 찬사를 받았다. 또 분야별로 이론과 함께 실습을 병행한 1:1 밀착형 커리큘럼을 선보여 만족도를 높였으며 초심자의 입장에서부터 유경험자까지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커리큘럼을 준비해 임상가들의 흥미를 높였다. 무엇보다 보편타당하면서도 근거 중심의 술식을 명확하게 전달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실제 임상에 도움이 되는 교육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술식을 위한 진단 및 치료계획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기본적인 절개와 봉합법 ▲상악동 거상술 및 골유도재생술의 기본과 심화 ▲임플란트 보철 시스템의 이해 ▲인상 및 보철물 설계와 장착을 위한 프로토콜 ▲디저털 기술을 접목한 임플란트 술식의 활용 ▲전악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다양한 콘셉 소개 및 전반적인 치료계획 수립과 실제 과정의 이해 ▲심미 임플란트를 위한 고려사항 및 실제 테크닉 ▲임플란트의 다양한 합병증의 해결법 등이 소개됐다. 이번 KAMY 과정 첫 수료생은 “임플란트 세미나가 과포화된 요즘 시대에, 기본적인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을 정리해 배울 수 있어서 뜻깊은 기회였고, 무엇보다 다양한 회사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서 폭넓은 시야를 얻게 되는 소중한 기회였다. 향후 동료 및 후배 치과의사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추천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황재홍 KAOMI 회장은 “세미나의 참 목적이란, 오늘 배워 내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원포인트 레슨에 있다. 일회성이 아닌 연속적 멘토-멘티로서 수료생이 우리 학회와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나아가 임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터전을 만들었다는 것도 유의미한 것”이라며 “향후 정기적으로 KAMY 과정을 개강해 고품격 임플란트 교육사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대치과병원이 올해 최신 치과 임상을 다룬 강연을 다수 준비했다. ‘2024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종합학술대회’가 오는 12월 8일 부산대치과병원 대강당과 치의학융복합진료센터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Navigating the Future: PNUDH’s First Dental Symposium’을 슬로건으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는 부산대치과병원 교수진과 다수 연자들이 참여한다. 이날 부산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는 부산대치과병원 교수진이 대거 나서 임상 강의를 펼친다. 우선 옥수민 교수가 비만과 치매 예방을 위한 코골이의 진단과 치료에 관해 강의한다. 이어 김현주 교수가 Emdogain과 Minocycline을 활용한 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의 효과적 관리법을 소개한다. 또 이소현 교수가 ‘무치악 환자를 위한 Overdenture의 첫걸음!’을, 손성애 교수가 ‘최신 치과용 접착제의 이해와 임상적 활용 극대화하기’를 주제로 강연한다. 이 밖에 백영재 원장(늘푸른치과의원)의 ‘임플란트 주변 전정성형술과 유리치은이식술’, 김성언 원장(세종치과의원)의 ‘The road to All on X’, 하석민 원장(젊어지는치과의원)의 ‘불가능을 가능으로: K-All on X’, 하원석 원장(WS치과의원)의 ‘All on X를 위한 Guide Surgery’ 강의가 열린다. 치의학융복합진료센터 강의실에서는 구연 발표가 이뤄지며, 오후에는 ▲김성민 교수(서울대치과병원)의 ‘Immediate Functionality and Stability of Bone Level Fully Tapered Roxolid Implant’ ▲창동욱 원장(윈치과의원)의 ‘난감하네, 상악 구치부 임플란트 성공률 높이기’ ▲허중보 교수(부산대치과병원)의 ‘개인 트레이와 Occlusal rim 없이 틀니 만드는 방법’ ▲송민주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바이오세라믹을 이용한 생활치수치료’ ▲곽상원 교수(부산대치과병원)의 ‘근관치료 최신 트렌드 따라잡기’ 등 다양한 임상 강연이 준비됐다. 사전 등록 마감일은 15일이며, 참여 시 보수교육 점수 4점이 인정된다. 김현철 부산대치과병원장은 “이번 학술대회에 임상적, 학술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고민과 노력을 기울였다”며 “각 주제마다 치의학의 최신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귀중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정치료 시 CBCT와 파노라마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상 비법 전수 기회가 찾아온다. 한국임상교정치과의사회(이하 KSO)는 11월 8일 줌 온라인을 통해 11월 월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SO는 매달 회원의 학술‧임상 역량 배양을 위해 월례회 형식의 온‧오프라인 강연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월례회에는 김호진 교수(경북대), 정호걸 교수(한림대)가 나선다. 먼저 김 교수는 ‘Effective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using CBCT’를 연제로 나선다. 특히 김 교수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에서 대칭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CBCT를 이용한 3차원 분석법과 임상적 활용법을 전할 계획이다. 이어 정 교수는 ‘교정과 의사들이 알아두면 쓸모있는 파노라마 영상 소견’을 주제로 임상에서 판독 오류를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독 노하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KSO는 오는 12월 12일 시그니엘 서울에서 송년의 밤 행사 개최를 알렸다. 이 자리에서는 정회원 인준 증례발표회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