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의 기초부터 심화까지 모든 것을 2년간 빠짐없이 배울 기회의 장이 열린다.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TEAM AZIT와 함께하는 AZIT 연수회 2기 모집을 시작한다고 최근 밝혔다. AZIT 연수회는 체계적이고 꼼꼼한 강의 프로그램을 통해 임플란트 수술과 보철의 기초부터 심화 과정까지 최신 디지털 임상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교육은 물론 각 단계에 맞춘 탄탄한 이론과 핸즈온, 라이브 서저리 등으로 수강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연자는 임플란트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함께 배우고 나누기 위해 모인 임상가 그룹 TEAM AZIT의 김용진 원장(예스미르치과), 최 진 원장(서울미르치과), 손영휘 원장(e-좋은치과), 박정철 원장(효치과), 나기원 원장(예스미르치과), 이윤형 원장(예스미르치과), 김진구 원장(연세구치과) 등 총 7인의 임상가로 구성됐다. AZIT 2기는 1기에서 한층 더 구성을 강화해 내년 3월을 시작으로 2026년 12월까지 매주 토·일 메가젠 강남 사옥 6층 세미나실에서 총 40강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1기는 지난 2월 성공적으로 개최 후 순항 중이다. 1기 참가자들은 체계적이고 꼼꼼한 강의와 내실있는 핸즈온, 강사진의 전문적 교육과 멘토링, 임상에 임하는 관점이 달라진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는 후문이다. 메가젠 측은 AZIT 연수회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 ‘7명의 연자가 제공하는 1:1 멘토링’을 강조했다. 메가젠 관계자는 “각 연자의 임상 노하우를 바탕으로 심도 있는 피드백을 제공해 개인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단순 교육을 넘어 임상 선·후배 관계로 발전해 ‘든든한 지원군’이 되는 특별한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는 점이 차별화된 가치”라며 “임상 교육에 목마른 많은 이들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네트워크를 지속, 확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TEAM AZIT를 이끄는 김용진 원장은 “AZIT 연수회는 교육 제공에 그치지 않고, 임상가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성장할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커뮤니티를 지속 확장해 더 많은 임상가들이 함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메가젠은 AZIT의 철학을 이어가는 전국투어 세미나에서 ‘WTF(When Treatment Failed); 왜 내가하면 어려울까?’를 주제로, 기개원의, 개원예정의에게 실제 임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전수한다. 세미나는 지난 8월 강북, 대전세미나를 시작으로 대구(10월 26일), 강남(11월 23일), 12월 동탄(7일), 부산(14일), 울산(21일), 내년 1월 원주(4일), 인천(11일), 강남(18일) 등 주요 도시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AZIT 연수회 및 전국투어 세미나 WTF의 신청 및 일정 등 자세한 내용은 메가젠 공식 홈페이지와 AZIT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플란트 임상을 집중적으로 다룬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덴티스 플랫폼 'OF'는 지난 9월 28일부터 29일까지 덴티스 서울 문정캠퍼스에서 임플란트 보철(Prosthesis)에서 Complication에 이르는 임플란트 임상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김세웅 원장(22세기서울치과)과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이 연자로 나서 다양한 임상 사례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보철(Prosthesis)과 Complication에 대한 카테고리별 세분화된 임상 솔루션을 제시했다. ‘Prosthesis Seminar’에서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임플란트 보철물을 설계하는 방법과 보철관점에서 유리한 Bone level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기반으로 설명했다. 또 ‘Implant Complication Seminar’에서는 임플란트 Complication에 대한 대처 방법을 임상사진과 X-ray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사례 중심의 강의가 이뤄졌다. OF는 베이직(BASIC), 올인원(ALL IN ONE), 보철(Prosthesis), Complication 등 기본부터 심화, 응용 단계별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으며, 임플란트 보철부문 ‘Prosthesis Seminar’는 오는 11월 23일, 24일 ‘상악전치’, 12월 7일, 8일 ‘풀마우스’. 12월 14일, 15일 ‘부분무치악’ 세미나가 예정돼 있다. 세미나는 OF 공식 홈페이지 내 세미나 카테고리에서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메디칼유나이티드와 대한미용성형치과연구회가 오는 10월 27일 ‘RF(고주파)를 이용한 근관치료’와 ‘3人 3色 덴탈 K-Beauty 이야기’를 주제로 한 강연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 강의실에서 개최한다. 주최측에 따르면 RF(고주파) Easy-endo(이지엔도)는 근관 외부에서부터 RF(고주파)가 전달돼 근관 내 파일과 가까워질수록 열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는 높은 열을 생성하는 고주파 에너지가 조직을 빠르게 가열해 근관의 치수를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세포막과 단백질을 손상시켜,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날 함종욱 원장, 윤현옥 원장은 근관치료의 정의부터 지금까지의 역사, 고주파 엔도수술의 범위와 안전한 근관치료 술식에 관해 강의한다. 특히 여러 임상증례 등 궁금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은 연자가 먼저 시행착오를 겪은 후 이에 관한 노하우를 전해줄 예정이다. 아울러 ‘3人 3色 덴탈 K-Beauty 이야기’ 주제 강연은 올해 8번째 후속으로 여는 세미나다. 주최측에 따르면 이날 뷰티라는 개념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폭넓게 다룸으로써 덴탈, 뷰티 토탈케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치과의사들에게 미용술식에 대한 이해와 임상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강연을 맡은 임석균 원장은 덴탈 피부미용을 시작함에 있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술식과 활용법에 대해 강연한다. 또 남진우 원장은 익히 알고있는 보톡스의 최대 활용법 및 스킨부스터를 부스팅하는 태반주사에 대해 심도있게 전해줄 예정이다. 김용석 원장은 오늘 배워서 내일하는 덴탈미용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실리프팅, 보톡스, 필러를 활용, 치과술식과 콜라보를 통해 환자만족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술식에 대해 가볍고 쉽게 알려줄 예정이다. 이는 강연 이후 다양한 라이브를 통해 참가자들의 이해와 경험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준비됐다.
덴티움이 최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한 디지털 임플란트 세미나를 통해 현지 치과 전문가들에게 최신 디지털 치의학 기술과 상악동 수술의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실크로드의 중심지로 동서양을 연결하던 무역과 교류의 거점이었으며, 덴티움은 이곳에서 현대 치의학의 혁신을 전파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김성태 서울대학교 치주과 교수가 초청 연자로 나서 상악동 수술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Sinus Simple을 소개하며, 현지 치과의사들에게 새로운 치의학적 시각을 제시했다. 실제 DASK Simple 시스템을 활용한 임상 사례를 통해 상악동 거상술이 어떻게 보다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는지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김 교수의 강의를 통해 상악동 수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으며, 특히 김 교수가 소개한 사례들이 현지의 임상 환경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김성태 교수는 “상악동 수술은 많은 치과의사들에게 어려운 술식으로 인식되지만, Sinus Simple 컨셉과 DASK Simple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우즈베키스탄 치과의사들이 이 솔루션을 통해 상악동 수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덴티움은 이번 우즈베키스탄 세미나를 통해 한국의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이 과거 비단과 같은 가치를 지닌 채 실크로드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실크로드가 동서양의 문물과 문화를 연결했듯이, 덴티움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이 중앙아시아를 시작으로 더 넓은 글로벌 시장으로 전파됐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세미나를 기획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우즈베키스탄은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시장으로, 이번 세미나는 덴티움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현지 치과의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실크로드를 따라 덴티움의 디지털 솔루션이 더욱 많은 국가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덴티움은 앞으로도 중앙아시아 내 다양한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교육 프로그램과 세미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각 지역의 특성과 니즈에 맞춘 맞춤형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현지 치과의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임플란트의 핵심 노하우와 최신 임상 정보를 공유하는 하반기 전국투어 세미나를 개최한다. 네오는 오는 19일부터 12월 7일까지 ‘2024 NEO ACADEMY’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2024 NEO ACADEMY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제주를 포함한 경상지역에서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며, 이성복 명예교수(경희대치과병원),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 김중민 원장(이웰치과) 등 3명의 치과 전문의가 연자로 참여한다. 특히 연자들은 이들은 ▲임플란트 치료 ▲무치악 임플란트 치료 ▲Implant Complications ▲발치즉시식립 ▲임상 교합 등을 주제로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해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전수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미나는 오는 19일(토) 제주에서 김중민 원장이 ‘임플란트 합병증의 처치와 예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11월 9일(토) 부산에서 김남윤 원장의 ‘발치 즉시 식립’에 대한 강연을 시작으로 이성복 교수는 11월 14일(목) 창원에서 ‘임플란트 치료의 혁신, All-on-X와 YK Link 딸깍 단추의 만남’을, 12월 7일(토) 대구에서는 ’반드시 지켜야 할 실전 임상 교합의 정석과 꿀팁’을 주제로 각각 강연을 진행할 계획이다. 네오 관계자는 “상반기 세미나에서 임플란트에 관한 실전 위주의 알찬 내용으로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며 “하반기 세미나에서도 베테랑 연자들의 임상 케이스를 바탕으로 한 실전 노하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NEO ACADEMY 전국 투어 참가는 청담 GAO 사무국(02-548-2877)으로 문의하면 된다.
덴티움이 중동시장에 자사의 ‘디지털 미니멀리즘’ 컨셉을 전파하고 있다. 덴티움은 지난 9월 15일, UAE 아부다비의 Beach Resort에서 ‘Dentium Digital Minimalism Conference’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UAE 보건복지부 산하 SEHA(Abu Dhabi Health Services Company)와의 공동 주최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에게 공인된 보수교육 점수를 발급함으로써 현지 의료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이를 통해 덴티움은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디지털 덴탈 분야의 선도 기업(Digital Pioneer)으로서 중동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한층 강화했다. 이번 세미나는 Digital Minimalism의 최신 트렌드와 임상적 적용 방안을 소개하는 강연으로 시작됐다. 덴티움은 복잡한 임플란트 시술을 간소화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이 지니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치료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참석자들은 덴티움의 디지털 솔루션이 어떻게 AI 기반의 교합평면 기능(AI Occlusal Plane) 등 최신 기술을 통해 정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지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다양한 임상 사례를 중심으로 덴티움의 디지털 솔루션이 복잡한 시술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통합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덴티움 솔루션이 단순한 제품을 넘어,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디지털 치료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을 체감할 수 있었다. 덴티움은 SEHA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 의료 시스템 내에서 덴티움 솔루션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SEHA는 UAE 보건 시스템의 표준을 설정하고 현지 의료진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덴티움은 이러한 SEHA의 비전에 맞춰 현지화 된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시했다. 덴티움은 SEHA와 함께 참가자들에게 공인된 교육 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덴티움의 디지털 솔루션이 UAE 의료 시스템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세미나에서는 덴티움의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 사례 발표와 더불어 실습 세션이 진행돼 현지 의사들이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을 임상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덴티움은 중동 시장 내에서 Digital Pioneer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졌다. 덴티움 관계자는 “중동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시장으로, 앞으로도 현지 의료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중동 시장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맞춤형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덴티움은 이번 세미나를 시작으로 UAE를 포함한 중동 전역에 디지털 솔루션을 확산시키고, 각국의 의료 시스템과 요구에 맞춘 교육 및 세미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동 시장에서 덴티움의 Digital Minimalism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디지털 덴탈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또 다가오는 10월 스페인에서 전 세계 치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월드 심포지엄을 개최해, 덴티움의 선도적인 개념과 제품을 소개하고 글로벌 Digital Pioneer로서의 위치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전략을 자세하게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제9회 한국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 학술강연회가 오는 27일 서울 강남성모병원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강연회는 III급 부정교합을 심층 분석해 조기개입과 후기개입 어느 것이 더 좋은 치료시기인지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오전에는 이현종 원장이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페이스마스크 치료의 장기 효과’를 주제로 Skeltal anchorage를 이용한 상악골 견인과 일반적인 RME 상악골 견인의 차이에 대해 강연한다. 뒤이어 특강으로 김수정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치과교정과)가 ‘얼굴, 교합은 기본! 수면과 호흡기능까지 발달시키는 교정의사의 손!’을 주제로 III급 부정교합과 호흡과 관련된 강연을 한다. 부정교합과 호흡의 상관관계, 그리고 교정치료를 통한 호흡의 개선과 관련한 흥미로운 강연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연회의 백미는 III급 부정교합의 개입시기에 관한 토론의 장이다. 성장기 조기개입을 주장하는 연자들과 후기개입을 주장하는 연자들 간의 논쟁 형태의 강연이 준비돼 있다. 주상환 원장(예이랑치과교정과치과 중랑점)이 ‘악골의 성장 조절 어디까지 가능한가?’, 이협수 원장(이앤장치과교정과치과의원)이 ‘첫차는 여유롭다. DR. LEE가 생각하는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의 조기개입 rationale’을 주제로 조기개입의 타당성을 주장한다. 또 정주령 교수(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치과교정과)가 ‘애매한 청소년기 Ⅲ급 부정교합의 악정형교정치료’를 주제로, 이기준 교수(연세치대병원 치과교정과)가 ‘버스는 놓치면 더 좋은 게 온다. 집나간 얼굴 찾는 4차원 교정’을 주제로 후기개입의 이점을 주장하며 논쟁한다. 이 세미나는 대한치과교정학회 인정의 보수교육점수 2점을 부여한다. 사전등록 마감은 10월 21일까지다. 등록문의: 이앤장치과교정과(042-273-2275), 치과 카톡 전용(010-4135-2276)
심미치과에 관심을 가진 대구‧경북 지역 치과의사들을 위한 가을맞이 임상‧학술의 장이 열린다. 대한심미치과학회 대구‧경북지부는 11월 2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1층 대강당에서 추계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되는 이번 학술집담회에는 심미치과 분야 저명 연자 2인이 나서, 부분 교정과 접착 수복의 심미 치료적 접근법을 전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원중 원장은 ‘현대 치과 수복 임상에서 접착 수복의 활용과 고려사항’, 정성국 원장은 ‘전치부 심미치료를 위한 부분교정의 활용’을 주제로 깊이 있는 임상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학술집담회 사전등록은 10월 31일까지며, 현장등록도 받는다. 회원과 비회원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치주질환을 컨트롤하면서 교정치료에 높은 진료 결과를 얻고자 하는 치과의사들을 위한 책이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포괄적 교정치료 - 심미와 기능을 양립시키기 위한 철학’ 도서를 출간했다. 교정치료를 하다 보면 구강 위생 문제부터 시작해서 치아 우식, 치아 결손으로 인한 보철적 수복, 치주적 문제, 턱관절 통증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 가운데 저자인 Watahiki Junich는 포괄적인 교정치료 접근법 개념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어렵게 여겨진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포괄적’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넓게 포함한다는 의미를 넘어,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접목을 통해 교정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뜻을 내포한다. 이 책에서 특히 언급할 만한 부분은 교정치료의 interdisciplinary한 특성에 관련된 것으로 치주조직 재생치료와 GBR을 포함하는 치주수술이 교정치료와 결합되는 형태로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외과적 시술이나 교정적 치아이동을 시행할 시기와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출판사 측은 “번역 과정에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노력했다. 이 책이 교정치료의 포괄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다양한 치과 분야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탐구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자: Watahiki Junichi ■역자: 임현묵, 금병탁, 류제성, 문지훈, 신철홍 ■출판: 대한나래출판사
소아청소년 환자에게 심미적이고 편안한 교정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인비절라인 퍼스트’에 대한 모든 것을 상세히 정리한 신서가 나왔다. 최광효 원장(아너스치과교정과치과의원 강서점)이 저술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실전 인비절라인 치료전략(Practical Invisalign Treatment Strategy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을 명문출판사가 펴냈다. 신서는 저자가 그동안 직접 치료했던 소아 청소년 인비절라인 치료를 대표할 수 있는 증례들을 정리한 임상증례집이다. 악궁확장과 치아배열, 2급과 3급 부정교합, MARPE 골성 확장까지 실제 치료실에서 만나는 인비절라인 퍼스트 1차 교정의 대부분의 범주를 다루고 있다. 특히, 환자들의 치료계획과 과정을 정리하고, 현재 관점에서 다시 기존의 치료를 돌아보면서 개선할 점이나 경험에서 알게 된 임상 노하우들을 함께 정리했다. 더불어 인비절라인 치료에서 중요한 클린첵 치료계획을 최종 셋업과 스테이징까지 동영상으로 쉽게 볼 수 있도록 QR코드를 만들어 첨부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한 제 경험이 소아청소년 환자의 인비절라인 치료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더 좋은 치료계획을 세워 자신감 있게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 자: 최광효 ■출 판: 명문출판사 02-2248-7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