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대만 3개국 차세대 구강악안면외과의사들이 만나 임상 경험과 지식을 공유했다.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제2회 차세대 구강악안면외과의사 심포지엄이 지난 10월 5일 이대서울병원 대강당에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Complications: Young surgeon’s note for perfection’이라는 주제로 한국, 일본, 대만의 젊은 구강악안면외과 의사들이 모여 지식을 교류했다. 심포지엄은 2개의 세션으로 나눠 총 6개의 강의가 진행됐으며, 강의 전 김동욱 교수(연세대)가 주도한 Pre-symposium 핸즈온 워크숍이 있었다. ‘Jaw in a Day: 임플란트 즉시 식립과 보철수복을 동반한 턱뼈 재건’을 주제로 (주)큐브랩스와 (주)오스템임플란트가 참여한 워크숍은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실습이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턱뼈 재건에 더해 임플란트 즉시식립을 위한 가상 수술 계획과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수술용 가이드·보철 장착 과정을 체험했다. 이후 심포지엄에서는 권익재 교수(서울대)가 재발한 구강암의 합병증 관리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Han-Chieh Cheng 교수(Taipei Veterans General Hospital)가 두경부 재건 수술에서의 지연성 피판 실패를, Teruhide Hoshino 교수(Tokyo dental college)가 사랑니 발치 후 신경 손상에 대해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이승현 원장(샘치과의원)이 IV 진정 요법의 합병증 관리를, Miyuki Sakuma 교수(Hiroshima University)가 악교정 수술 중 부적절한 골분리에 대해 강의했다. 또 Tzu Huan Huang 교수(Mackay Memorial Hospital)는 컴퓨터 보조 수술을 통한 합병증 예방과 학습 곡선 단축에 대해 강의했다. 이부규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차세대 구강악안면외과 의사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제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참가자들이 앞으로 마주할 미래를 준비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ODS가 다이렉트 투명교정 얼라인미라클 노하우를 전수하고 나섰다. 지난 9월 29일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김부섭홀에서 ‘다이렉트 투명교정 얼라인미라클 세미나’가 개최됐다. 업체 측에 따르면 ‘다이렉트 투명교정 얼라인미라클 세미나’는 총 3단계(Basic-Advanced-Master) 코스로 구성돼 있으며, 이번 세미나는 다이렉트 투명교정 장치 활용의 입문 단계인 Basic 코스로 치러졌다. 특히 최신 다이렉트 투명교정 장치 AlignMiracle의 기본 원리와 임상 사례 및 환자에게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활용법을 실습과 함께 전달해 참가자들에게 호평받았다. 무엇보다 미래 교정 치료의 혁신적 변화와 디지털 시대에 맞는 최첨단 교정장치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의미를 더했다. 주요 강연으로는 ▲박성원 교수의 ‘AlignMiracle Intro-미래 교정의 서막’ ▲채화성 교수의 ‘AlignMiracle 특징 비교와 원리/장점/치료사례’ ▲심미영 교수의 ‘임상증례’ ▲안장훈 교수의 ‘Date acquisition and analysis’ 및 ‘구강스캐너와 Direct 3D Printed Attachment’ ▲이효연 원장의 ‘DPA 진단과 치료계획의 이해’와 ‘DPA 투명교정치료 의뢰하는 법’ ▲박준호 교수의 ‘다이렉트 투명교정치료 케이스 선별을 통한 수익성과 적용 예’ ▲추현희 교수의 ‘Trouble Shooting-환자 상담, User Guide’ 등이 펼쳐졌다. 이 밖에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치과교정과 체어에서 Hands on 실습도 이어졌다. 박경원 ODS 대표는 “매월 진행되는 다이렉트 투명교정 세미나는 12월까지 100여 명이 넘는 치과 병·의원 원장들이 참석할 예정”이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앞으로 대한민국이 다이렉트 투명교정의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겠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덴티움이 일본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덴티움이 지난 9월 29일 도쿄 카부토원에서 개최된 ‘2024 도쿄포럼(Tokyo Forum 2024)’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포럼은 약 120명의 치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미니멀리즘(Digital Minimalism)’을 주제로 진행됐다. 포럼에서는 덴티움의 혁신 제품군인 bright implant, Sinus Simple, DASK Simple 등이 소개됐다. 특히, 디지털 미니멀리즘 컨셉을 기반으로 한 임플란트 수술과 상악동 거상술 등을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타마키 히토시 원장(니혼바시 임플란트 센터)이 덴티움 심플 라인 임플란트를 활용한 임상증례를 발표했다.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은 브라이트 임플란트 시스템을 통한 미니멀 수술 방법과 디지털 진료 과정을 소개했다. DASK Simple과 OSTEON™ 3 Collagen의 사용법을 설명하고, Rainbow CT 뷰어의 AI를 활용한 교합평면 설정 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클리닉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을 참석자들에게 선보였다.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는 DASK Simple을 활용한 상악동 거상술을 소개했으며, Compaction Drill로 자가골을 활용하는 Crestal Approach와 래터럴 드릴을 이용한 Lateral Approach가 주목받았다. 일본 연자들의 발표도 이어졌다. 야마모토 아키요시 원장(오사카 나카노시마치과)과 마치다 지로 원장(도쿄 아틀라스타워치과)은 덴티움 제품을 활용한 임상사례를 공유했으며, 특히 치아 발치 직후 임플란트 식립 사례가 관심을 끌었다. 이노코 미츠하루 원장(홋카이도 이노코치과)은 상악동의 미니멀 수술사례를 추가로 설명했다. 이번 포럼은 단순히 제품 소개에 그치지 않고,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 사례와 효과적인 사용법을 중심으로 진행돼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특히 덴티움이 추구하는 디지털 미니멀리즘 컨셉이 일본 치과 시장의 니즈와 잘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덴티움은 이번 포럼의 성공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오는 11월에는 덴티움 광교사옥에서 일본 치과의들을 대상으로 브라이트 임플란트 방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도쿄포럼을 통해 일본 시장에 덴티움의 디지털 미니멀리즘 컨셉을 성공적으로 소개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통해 치과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덴티움이 지난 10월 5일 경기도 광교 사옥에서 열린 ‘The Next in Implant: bright Implant’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 시스템의 혁신적인 설계와 임상적 장점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며 차세대 임플란트 시장을 선도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덴티움의 bright Implant는 Tissue Level과 Bone Level을 기반으로 설계돼, 높은 초기 고정력과 최소한의 골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등 임상 전문가들이 연자로 나서 각 제품 라인의 특징을 중심으로 최신 임상 증례를 공유하며, bright Implant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성민 원장이 연자로 나서 bright Implant의 Tissue Level과 Bone Level의 구조적 차이를 설명하며, Tissue Level이 높은 초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논의했다. 또 직경 3.0의 임플란트를 활용한 Minimalism Surgery를 통해 GBR 없이도 안정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함을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해 증명했다. 정 원장은 “bright Implant의 혁신적인 설계는 수술의 복잡도를 줄이고, 환자의 치유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며 “향후 다양한 임상 적용 가능성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민경만 원장이 bright Bone Level 임플란트를 활용한 임상 사례를 발표하며, 기존 Long Implant와 비교해 Short Implant의 장점을 설명했다. 민 원장은 과거 Long Implant 사용 시 복잡했던 Drilling Sequence로 인해 수술이 까다로웠던 반면, bright Bone Level을 통해 수술이 보다 간편해지고,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치료 결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마지막 세션에서 변수환 교수는 소구치부에서의 직경 3.0 임플란트 식립의 효과를 설명하며,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골 손실보다 적은 수준의 골 손실을 보이는 bright Implant의 임상적 우수성을 발표했다. 또 좁은 전치부 ridge에서도 직경 2.5와 3.0의 Tissue Level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식립한 사례를 소개하며, bright Implant의 높은 활용성과 안정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치과 전문의는 “bright Implant의 차별화된 설계와 임상적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특히, Tissue Level의 상세한 설명과 임상적 활용 사례가 매우 인상 깊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의 혁신성과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국내 의료진들에게 소개할 수 있었던 중요한 자리였다”며 “덴티움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글로벌 세미나를 통해 bright Implant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시장 내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이하 KORI)가 캄보디아를 방문해 최신 교정학 전수를 위한 상호협력 체계를 재확인했다. KORI는 김재구 회장과 성재현 자문위원이 최근 캄보디아 International University(IU)를 방문하고 돌아왔다고 밝혔다. 지난 2010년 11월 IU와 MOU를 체결, 치과교정 분야의 교육지원을 하고 있는 KORI는 이번 방문 기간 동안 MOU를 연장했다. 또 2기 교정과 대학원 과정 중 두 번째로 실시된 수업을 맡아 강의했으며, 이미 배출된 대학원 1기 졸업생들로부터 뜨거운 환영과 감사인사를 받기도 했다. 성재현 자문위원은 9월 9일과 10일 이틀간 진행된 대학원 수업에서 ‘성장과 발육’강의를 진행했다. 그는 오전에는 ‘골 형성 기전, 구강 악습관’강의, 오후에는 ‘두개관과 두개저의 성장발육, 임상증례’를 주제로 강의했으며, 이 자리에는 University of Puthisastra 교정과 대학원생들이 참석해 함께 수업에 임했다. 이튿날에도 성 자문위원이 ‘상, 하악골의 성장발육’, ‘교정치료의 시기와 골령’, ‘치아와 치열의 성장과 발육’을 오전과 오후로 나눠 강의했다. 이 날은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교정과 대학원생들이 청강했다. 특히 9일 강의 시작에 앞서 김재구 회장은 KORI를 소개하는 한편 IU 측과 교육 협약 연장을 체결했다. 첫날 수업 후에는 10명의 교정과 대학원 2기생들과의 만찬이 있었고, 이튿날 수업 후에는 교정과 대학원 1기 졸업생 10명 전원이 성재현 자문위원을 위해 준비한 만찬이 진행됐다. 이틀의 만찬 행사에는 2기 대학원 과정 디렉터인 Sok Chenh Chhean 교수, 진단과 실습 분야를 각각 담당한 Khoun Tola 교수와 Chum Mony 교수 등이 함께 했다. 김재구 KORI 회장은 “KORI와 IU와의 인연은 설립자인 고 김일봉 선생님 생전에 시작됐으며 초창기부터 성재현 자문위원께서 교육 지원을 각별히 담당해 2015년 캄보디아교정학회(Cambodian Orthodontic Association) 창립에 이어 대학원 과정도 시작될 수 있었다”며 “1기 대학원 과정에서는 홍수정 부회장을 비롯한 다수의 KORI 인스트럭터들이 온·오프라인 강의를 맡아 수고했고 2기 대학원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이유진 국제이사 등 많은 KORI 인스트럭터들이 강의를 맡아줄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강 질환의 새 원인 규명 등 기초치의학 최신 지견이 올가을을 풍성하게 장식한다. 제23회 대한기초치의학협회 학술대회가 오는 11월 22일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관악캠퍼스 2층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암, 알츠하이머와 구강 미생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등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최영님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미생물학교실)는 ‘Is microbial infection the cause of oral lichen planus?’라는 주제로 미생물 감염이 구강 편평태선의 원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김재성 교수(조선치대 구강생리학교실)는 ‘Pathological mechanism of oxysterols mediated by CH25H-CYP7B1 axis in hard tissues’라는 주제로 뼈 조직 질환과 관련된 새로운 생물학적 기전을 설명한다. 김동운 교수(경희치대 구강해부학교실)는 ‘Rejuvenating Microglia: Nanomedicine Strategies to Enhance Amyloid Clearance in Alzheimer's Disease’, 박현진 교수(건국의대 해부학교실)는 ‘Detailed Micro-Dissection of Facial Structure’라는 주제로 구강 건강과 뇌 질환의 연관성을 밝히는 흥미로운 연구도 소개할 예정이다. 또 홍수형 교수(경북치대 구강미생물학교실)는 ‘Distinct roles of cancer-associated fibroblast subgroups in the progression and drug resistance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김현실 교수(연세치대 구강병리학교실)는 ‘Regulatory mechanisms of GSK3 and binding proteins during cancer progression’라는 주제로 암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해 향후 구강암 치료에 새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초청 연자인 토모아키 이와야마 교수(오사카치대)가 ‘Periodontal ligament for tissue regeneration and destruction’라는 주제로 강연, 치주 인대의 재생과 파괴 등 병리 기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박주철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조직학교실)가 ‘한 기초연구자의 바이오 벤처 사업 이야기’, 허강민 단장(한국연구재단)이 ‘치의학분야 연구지원 현황’이라는 주제로 강연해, 기초치의학 관련 산업과 정책 동향까지 조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밖에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학술 연구 포스터 전시, 우수 발표 시상 등이 있을 예정이다. 학술대회 사전 등록 및 초록 접수 마감은 이달 28일까지며, 자세한 문의는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062-530-4822, ayoayo6@snu.ac.kr)로 하면 된다.
한국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이하 성장기교정연구회)의 올해 네 번째 학술집담회가 지난 9월 28일 개최됐다. 성장기교정연구회는 주기적인 학술집담회를 통해 회원들 간 학술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이동현 원장(피어나치과교정과치과의원)이 ‘최대성장기 이후 하악골 성장을 이용한 II급 부정교합 치료’를 주제로 발표했다. 성장기 II급 치료는 환자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비발치와 발치 케이스에서 II급 고무줄과 적절한 골성 고정원 사용을 통해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케이스를 선보였다. II급 고무줄은 II급 부정교합에서 전후방적인 관계 개선을 일으키지만, 이와 더불어 상악 전치와 하악 구치의 정출, 그리고 교합 평면의 시계 방향 회전은 안모의 악화를 유발하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회원들 간 질문과 토의가 이어졌다. 환자가 가진 골격 패턴에 따른 치료 예후, 여러 악기능 장치와 II급 고무줄 간의 치료 역학 비교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을 나눴다. 한편, 성장기교정연구회는 오는 10월 27일 서울 강남성모병원 마리아홀 대강당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전략, 조기개입할 것인가? 후기 개입할 것인가?(Dynamic decision in Dilemma)’를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젤치과그룹이 ‘EZEL BTS(Best Team Solution) 제2차 세미나’를 지난 9월 28일 강남구 삼성동 세미나실에서 개최했다. 총 4시간 강의와 1시간 질의응답으로 구성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2저 2고 시대 불황을 극복 방법’을 대주제로 진료와 경영 차별화를 통한 불황 극복 해법을 제시했다. 첫 연자인 엄상호 원장(강남헤리치과)은 ‘진료적 차별화: 시멘트리스 임플란트 보철의 전성기’라는 주제로 헤리 시스템을 통한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처치와 관리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조정훈 원장(이젤치과그룹대표)이 ‘저수가 시대의 경영적 차별화: Loyalty (part2)’를 주제로 치과 체계와 복지 향상을 통한 TPOM(Treatment Production & Operation Management)·Empowerment 실현, 실체적·인지적 서비스, 경영 프로세스 차별화에 대해 강연했다. 지난 9월 시작한 ‘EZEL BTS 세미나’는 이달 26일 3차 세미나를 끝으로 올해 교육을 마감한다. 자세한 문의와 내년 강의 일정, 수도권 가맹 문의는 이젤치과 카카오채널, 이젤치과그룹, ㈜DF덴탈프렌즈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진행한다.
저스트스캔이 오는 11월 3일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 401호에서 ‘저스트스캔 세미나(just scan seminar) 2nd’를 개최한다. 지난해 11월 첫발을 내딛은 ‘저스트스캔 세미나’는 첫 개최임에도 불구하고 1시간 만에 사전예약 조기 마감을 기록하며 이미 치과계에서 큰 관심과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 낸 바 있다. 200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한 지난 세미나에서는 주문만 하면 인레이와 임시치아를 25분 이내에 원격으로 제어해 제작이 가능한 ‘저스트스캔 익스프레스’ 시연과 ‘저스트 프린트 5’를 선보이며 참관객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세미나 역시 ‘Modern Same-Day Dentistry - 치과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대주제로 총 6개의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지진우 글라우드 대표를 포함한 여섯 명의 연자가 최신 디지털 치과 진료 기술과 그 적용 사례 등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함께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지식을 제공하며 참가자들에게 진료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안내한다. 세션은 ▲지진우 대표(이미지치과 대표원장)의 ‘Modern Same-Day Dentistry’ ▲심미영 교수(중앙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의 ‘새로운 투명교정 : Direct Print Aligner’ ▲박성원 교수(덴탈빈 대표, 중앙대학교치과병원장)의 ‘저스트로딩을 이용한 임플란트 즉시로딩’ ▲박태영 교수(조선대학교치과병원 보존과)의 ‘레진 인레이를 이용한 Same-Day Inlay 치료’ ▲정찬권 원장(정찬권에이블치과)의 ‘저스트스캔, 심미치과의 적용’ ▲노관태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의 ‘Same-Day Denture Concept’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 참관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저스트스캔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3D 프린터 ‘저스트 프린트 5’ 1세트를 무료로 증정하는 풍성한 경품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저스트스캔 관계자는 “지난 ‘저스트스캔 세미나’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던 만큼 이번 두 번째 세미나 역시 조기 마감이 예상된다”며 “치과계의 디지털 트렌드와 최신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세미나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참가 신청은 별도의 신청 페이지(https://external4.justscan.ai/external/seminar2024/1)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대한심신치의학회가 ‘마음챙김: 채움과 비움’을 주제로 오는 10월 27일 신흥 본사 11층 대강의장에서 제4회 학술대회 및 집단심리상담을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치과종사자들이 업무와 대인관계에서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한 전문가들의 명쾌한 조언을 들어보고, 마음에 뭘 채우고 무엇을 비울지를 한 번 경험해 보는 자리다. 이는 특히 지난해 학술대회에서 새롭게 도입, 많은 호응을 얻었던 집단심리상담이 이번에도 준비돼 눈길을 끈다. 우선 ‘제1부 몸마음건강힐링 콘서트’ 집단심리상담 파트에서는 장영수 박사(서장심리상담센터 소장)가 일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심신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아울러 제2부 정기학술대회에서는 홍정표 대한심신치의학회 전임회장이 ‘치과질환의 숨겨진 그림자(치과질환의 근본적인 원인고찰)’을 주제로 강의한다. 이는 특히 스트레스가 치과 질환의 근본적인 내부 원인인자로 작용하는 만큼, 이에 대한 이해는 치과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후 Dr. Abiko 일본치과심신의학회 회장이 치과에 내원한 심리적 문제를 가진 환자에 대해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아울러 강나라 교수(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는 신체를 다루는 구강악안면외과 치과의사로서 양악수술환자의 외형만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있는 마음의 상처와 열등감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밖에 방성규 교수(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통합심리치료학과)가 우울증에 대해 기초부터 깊은 내용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강의한다. 학술대회에 관한 등록 및 문의는 misodental@naver.com 또는 카카오톡 ‘대한심신치의학회’에서 가능하다. 학회 관계자는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스트레스, 과도한 욕망, 마음의 상처, 잠재된 분노와 트라우마, 슬픔과 외로움 등 마음의 독소를 비워내고 우리 마음의 본질인 행복과 평화를 회복하고 싶어한다”며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마음챙김’의 비우고 채우는 비법이 무엇인지 직접 경험해 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