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교정재료 전문 기업 오스템올소가 치과교정학 분야 최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학술 모임을 연다. 오스템올소는 ‘제1회 최첨단 치과교정학 심포지엄’(이하 치과교정학 심포지엄)을 오는 6월 23일 오후 2시부터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최고 수준의 임상가들을 특별 초빙한 가운데 개최한다고 밝혔다. 치과교정학 심포지엄은 치과교정학의 최신 치료지견과 재료에 대해 각 분야 최고의 임상경험을 가진 임상가들을 초청, 정보 제공을 하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김태우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가 ‘Mini-implant를 이용한 개방교합의 치료’, 김지환 원장(서울41치과교정과)이 ‘성인 장안모 골격성 2급의 Camouflage 치료 : 이론과 실제’, 최광효 원장(아너스 치과교정과)이 ‘3급 부정교합의 캐리에모션 치료와 Vertical and Sagittal change’, 최형주 원장(서울바른 치과교정과)이 ‘상악 전치 Low torque bracket의 활용법’을 주제로 총 4시간 30분간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행사의 전반적인 진행을 총괄하고 있는 김병일 오스템올소 대표는 “학계와 개원가에서 주목받고 있는 교수님 및 원장님을 초빙해 교정치과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심포지엄을 준비했다”며 “금번 개최를 계기로 이후에도 교정치과계에서 가장 손꼽히는 학술행사로 주목 받을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행사를 개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스템올소는 행사 당일 ‘오스템 Low Torque 브라켓’, ‘Molar Protraction Tube’를 비롯해 출시 예정인 신제품 ‘MAJESTY mini Buccal Tube’ 샘플도 신청자에 한해 제공할 예정이다. 해당 심포지엄은 사전에 초대받은 인원들에 한해 등록이 가능하다. 오스템올소 카카오채널 또는 국내영업본부(02-318-2822)를 통해 문의가 가능하다.
설측교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아보는 강의가 열린다. 대한설측교정치과의사회는 오는 7월 14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온라인(줌)을 통해 전공의 무료강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설측교정 할 수 있나요?’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강연에는 총 3명의 연자가 참여해 양질의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먼저 윤현주 더라인치과교정과 치과의원 원장이 ‘개원의로서 설측교정치료를 알아야하는 이유 그리고 해야만 하는 이유’를 주제로 강연한다. 또 안장훈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치과교정과 교수가 ‘설측교정에서 절치 경사도(inclination)의 중요성’을 주제로, 이기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과 교수가 ‘중심선 기반 설측교정’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한다. 사전등록은 오는 7월 9일까지다. 문의: kalomember@gmail.com
어린이용 교정 전 근기능장치 PREORTHO의 사용법을 수록한 신서가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PREORTHO 어린이 치아 교정법’을 출간했다. 안도 마리에 치과의사, 야마시타 리리노 치과위생사가 감수로, 한유진 씨가 번역한 이 책은 성장기 어린이용 교정 전 근기능장치 PREORTHO의 개요, 사용법을 다루는 동시에 가지런한 치열과 건강한 구강을 위한 습관 교정을 알려주는 지도용 자료 도서다. 임상 현장에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쉽도록 12일차로 설명할 내용을 나누고 환자, 보호자에게 보여줄 페이지와 설명할 치과 스태프가 봐야 할 내용을 연속으로 배치했다. 세부항목으로는 ▲치열 ▲습관 ▲숨쉬기 ▲아이우베 체조 ▲발음 연습 ▲올바르게 먹는 방법 ▲위턱의 모양 ▲입(턱)의 변화 ▲올바른 입의 사용 방법 ▲음료의 공포 ▲식생활의 변화 ▲씹는 것의 중요성 등이다. 이 책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내용이 잘 전달되도록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환자·보호자용 페이지는 알기 쉬운 그림 위주로 꾸며져 이해를 돕고, 치과 스태프용 페이지에는 어떻게 질문하고 답을 할지, 또 무엇이 포인트인지 명확히 다뤄져 있다. 또 12일차로 나뉜 만큼 교육 기간 중에 중요 포인트를 잊지 않도록 복습 페이지가 중간중간 들어 있는 세심함도 갖췄다. ■감 수: 안도 마리에, 야마시타 리리노 ■역 자: 한유진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30여 년 발치기법 노하우를 모두 담아낸 신서가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달인이 될 수 있는 발치기법(제2판)’을 새로 출간했다. Horinouchi Yasufum을 저자로, 이종호, 김여갑이 번역한 이 책은 발치 수술을 어떻게 하면 안전하고 능숙하게 할 것인지를 다뤘다. 제2판에서는 ‘난발치의 발치 테크닉’과 ‘합병증’에 관한 장은 물론, 동영상을 추가해 구강외과 수련 경험이 없는 치과의사들도 바로 실전에 적용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구강외과 질환의 진단・치료 전문의인 저자의 30여 년의 발치기법 노하우가 담긴 책이다. 초판 이후 12년의 연구와 실전 기법이 더해졌으며 실제 발치 동영상을 추가해 시각적으로 더욱 이해하기 쉽게 했다. 책 구성은 크게 3개의 파트 아래, 25개 장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발치를 위한 추천 기구와 색인을 통해 필요한 부분을 바로바로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우선 ‘발치의 기본’을 다루는 파트 1은 환자를 대하는 방법, 발치 시에 주의를 요하는 부분, 국소마취 방법 등을, ‘난발치’를 다루는 파트 2는 난발치 해결을 위한 부가 치료, 절개 및 봉합 등의 기본 기법, 잔근치의 발치, 상‧하악 매복 지치의 발치, 과잉매복치 및 부분매복치의 발치, 발치되지 않을 때의 대응 등을, ‘합병증과 그 대응’을 다루는 파트 3은 전신적 합병증, 합병증에 따른 대응, 수술 후 경과 불량 시의 지식과 대처법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저 자: Horinouchi Yasufum ■역 자: 이종호, 김여갑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대한노년치의학회(이하 대노치)가 진행하는 노인 치과 환자 전문가 과정이 또 새로운 교육내용을 준비했다. 대노치 16기 1차 시니어구강관리 전문가 과정이 오는 16일(일), 오전 9시30분부터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 강의장에서 개최된다. 이날 오전 교육에서는 오승원 교수(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가 ‘노인 영양관리’, 김선영 교수(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가 ‘노쇠와 구강건강 중요성’, 박미애 부센터장(수원시 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이 ‘초기 치매환자의 증상과 management’, 김문종 교수(관악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가 ‘노인 점막 통증의 약물치료’를 주제로 강의한다. 오후에는 이성근 원장(이성근치과의원)이 ‘통합돌범과 방문치과 진료 시 고려할 점’, 김경민 교수(용인 세브란스병원 내분비 내과)가 ‘골다공증 약제와 MRONJ’, 이유승 교수(서울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가 ‘연조직을 고려한 임플란트 보철물 디자인’을 주제로 강의한다. 등록은 오는 15일까지며, 세미나 참가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된다. 문의: 031-8069-7772
바이오 급속 교정의 우수성과 치료특징을 알아보는 자리가 열렸다. 경희대치과병원은 한국바이오급속교정연구회와 지난 5월 26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마리아홀에서 ‘대한민국 치과의사를 위한 Bio 치과 전략 2024 Part 2. 강연회’를 개최했다. 본 강연회는 지난 2022년 5월 진행된 1차 강연회에 이은 2회차 강연으로 ‘난해한 유치열·혼합 치료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바이오 급속 교정의 우수성과 치료특징을 국내 치과의사에게 소개했다. 특히 김성훈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 급속 교정센터 센터장과 정규림 임상교수가 강연자로 나서 350여 명의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유치와 혼합치열을 가진 소아 환자를 위한 바이오 급속 교정만의 특화진단치료법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연자들은 강연을 통해 복잡한 골격 문제를 가진 주걱턱이나 무턱 소아 교정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크게 받지 않고도 치료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바이오 소아 교정 치료법을 소개했다. 또 복잡한 치열 밀집이나 매복치 문제를 가지고 있는 10세 미만의 소아 교정 환자에게 투명 교정 치료나 어려운 교정 장치를 굳이 적용하지 않고도 성장 잠재성과 환경조절을 통해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 근거와 임상 증례를 통해 증명했다. 경희의료원은 “바이오 급속 교정은 지난 1979년 경희대치과병원이 개발한 치료법으로, 치료가 필요한 타겟을 정확하게 설정해 최소한의 도구로 치아에 무리를 최소화하는 교정 진단치료법”이라며 “교정이 필요한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지만, 치아 이동을 최소화하고 성장 부조화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법 특성상 소아 환자에게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저성장 고물가 시대를 살아가는 치과 개원가의 대응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이젤치과그룹이 주최한 ‘치과 미래 전략 세미나’가 지난 5월 26일 서울 강남 모처에서 개최됐다. 발표자로 나선 조정훈 원장(오산점)은 ‘오늘, 내일 그리고 우리’를 주제로 ▲저성장 고물가 시대 ▲의대증원 이후 의료계 변화 ▲이젤치과그룹의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또 기동하 원장(성남점)의 ‘24년 젊은 원장들에 대한 고충 및 배려할 점’과 김홍철 원장(주안점)의 ‘구인난의 심각성’에 대한 발표에 이은 열띤 토론이 있었다. 이젤치과그룹은 2시간여의 세미나를 자주 개최해 ‘원내 ERP’, ‘내부 마케팅’ 등을 비롯한 이젤치과그룹의 장점을 젊은 치과의사들에게 알려주는 기회로 만들기로 중지를 모았다. ERP 시스템이란 재무, 인사, 진료, 공급망, 서비스, 구매조달 등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그 밖에 선화경 교수(분당제생병원 구강외과)의 특강과 초청연자를 통한 그룹 내 진료 품질관리와 투자를 통해 원장 선발과 교육에 그룹의 미래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는 자리가 됐다. 이젤치과그룹은 향후 7월 ‘치과 내 ERP 사용법에 대해’, 9월 ‘내부 마케팅에 대해’ 등 세미나에 이어 11월에 이젤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덴티움이 지난 5월 29~30일 중국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와 츠펑시에서 ‘2024 Dentium Forum in 내몽골’을 개최했다. 내몽골 지역은 중국의 북방에 있는 도시로 덴티움의 점유율이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유저가 많은 만큼 세미나에 대한 유저들의 높은 니즈를 반영해 이번 포럼을 기획했다. 후허하오터시에서 열린 29일 포럼에서는 한국 연자로 임상철 원장(웰치과), 현지 연자로는 내몽골 지역 구강협회 회장인 Dr. Yin Huiwen과 현지 공립병원 출신의 Dr. Sun Daocai가 참여했다. 츠펑시에서 개최된 30일 포럼에서는 임상철 원장이과 현지 연자로 북경 공립병원 대상 KOL인 Dr. Tan Tao가 참여했다. 임상철 원장은 덴티움의 ‘Sinus Simple’ 컨셉을 기반으로 한 ‘상악동 수술시 해부학적 주의사항’, ‘상악동 GBR 시술의 적응증’, ‘임상 합병증’이란 3가지 주제의 이론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DASK Simple을 활용한 Crestal approach, Lateral approach, Bicortical Fixation을 통한 쉽고 간편한 상악동 수술에 대한 설명과 성공적으로 적용된 다양한 케이스들을 소개했다. 또 Compaction Drill로 상악동 막을 천공 없이 안전하게 거상하며, OSTEON™ 3 Collagen과 같은 콜라겐 함유 골이식재를 사용 시, 가루형 골이식재보다 조작성이 편리하고 볼륨 증강과 신생골 형성에 더 용이하다고 소개했다. 오전 이론 강연 이후에는, 현지 연자들의 주도로 핸즈온 세미나를 제공해 이론에서 배운 내용들을 직접 체험해보며 익힐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내몽골 지역은 중국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한국에는 생소한 지역이지만 덴티움의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은 지역”이라며 “덴티움은 중국 내 지역에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유저들의 니즈를 반영한 포럼을 기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턱관절장애, 이갈이,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관한 노하우를 총망라한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끝났다. 턱관절장애 교육연구회 주최 ‘2024년 제3회 턱관절장애, 이갈이, 턱관절 증식치료, 수면무호흡증 완전정복을 위한 One-Day 세미나’가 지난 5월 26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턱관절장애 교육연구회 회장인 김욱 원장(의정부 TMD 치과의원) 초청으로 진행됐다. 이날 사전 등록한 150명의 치과의사들이 강의실을 꽉 채운 가운데 턱관절장애의 진단, 물리치료, 교합장치요법, 보험청구, 최신 보툴리늄톡신 주사요법, 신의료기술 턱관절 증식치료 및 최신 PDRN 재생 주사요법, 수면무호흡증 구강내 장치치료 등에 관한 강의가 진행됐다. 이날 김욱 원장은 강의를 통해 턱관절장애의 진단, 치료 및 보험청구에 대한 구강내과 전문 개원의로서 29년간 축적된 본인의 임상적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달했다. 김욱 원장은 특히 턱관절장애 및 안면통증 분야가 측두하악관절 방사선검사, 진단분석검사, 자극요법 등을 강의하며, 오늘 배워 바로 내일부터 진단, 치료 및 보험청구가 가능해 병원경영에도 즉각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3교시에는 김지락 교수(경북대치과병원)가 이개측두신경차단마취, 턱관절 주사요법, 턱관절강세척술에 대한 특강을 했다. 또 4교시에는 한국 프롤로 턱관절 연구회 회장인 윤현옥 원장(울산 우리치과의원)과 연구회 총무이사인 조용일 원장(울산 웰컴치과의원)이 턱관절 증식치료, 초음파 영상 유도하 주사법에 대해 설명했다. 5교시에는 김욱 원장이 교합장치요법, 수면무호흡증 구강내장치 치료, 보험청구, 최신 보툴리늄톡신 주사요법 등에 대해 강의했다.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턱관절 One-Day 세미나는 매번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내용과 형식으로 진행돼 지금까지 총 누적 수강생 수가 6480명을 넘어서는 등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주최 측은 오는 7월 14일 서울대 치과병원 지하1층 승산강의실에서 제4회 턱관절장애 One-Day 세미나를 개최하며, 현재 접수중이다.
치과의 데이터 흐름을 보면 경영 혁신을 이룰 수 있다. 여기에 직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해 자신의 업무성과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하고 인정받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옥용주 원장(내이처럼치과병원)이 매달 진행하고 있는 DBA(Dental bigdata & Automation) 프로그램 활용 경영 세미나가 참여 치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5월 25일 열린 세미나에도 치과 데이터 경영에 관심 있는 원장 및 스탭들이 참여해 직원들이 스스로 매출을 올리는 경영기법에 집중했다. ‘연봉협상이 필요 없는 데이터 경영 세미나’란 부제를 달고 진행되는 이 세미나에서는 병원에서 나오는 일계표를 병원의 인건비 등의 데이터와 연동해서 실시간으로 매출목표와 인센티브를 잡아내는 프로그램 DBA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시스템 운영법을 강의한다. 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하면 직원들이 스스로 업무, 환자 관리 등에 나서게 되고, 자연스레 업무에 동기부여가 된다. 옥용주 원장은 “치과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직원들이 능동적으로 업무를 주도할 수 있게 동기를 제공한다”며 “DBA 프로그램 안착 후 원장과 팀원의 비전이 같아져, 스탭들이 스스로 성장하려 노력하며 자연스럽게 매출이 오르는 것을 경험했다. 직원들의 성과를 인정하기에 연봉협상이 필요 없어지고, 경영에 대한 스트레스도 받지 않게 됐다. 치과 데이터를 활용한 경영기법을 더 많은 치과와 나누고 싶다”고 했다. 다음 6기 세미나는 오는 22일(토), 오후 4시부터 내이처럼치과병원 내 세미나실에서 선착순 5개 치과를 접수 받아 진행한다. 등록문의: 카카오채널 ‘디바(DBA)’, 010-2307-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