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오는 2026년의 치과 개원 및 경영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열린다.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가 주최하고 네오엑스포가 주관하는 치과 개원의 및 예비 개원의를 위한 개원 전문 박람회 ‘DENTEX 2026(Dental Opening Information Exibition & Conference, 이하 덴텍스)’이 오는 2026년 1월 11일 코엑스 D홀(3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덴텍스는 ▲개원 기본 경영 ▲개원 필수 임상 ▲참가업체와 함께하는 개원 등 3가지 트랙으로 운영되며, 개원의를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먼저 ‘개원 기본 경영’ 부분에서는 이재윤 원장(신세계치과), 김정욱 대표(케이닥터플랜), 홍준태 원장(논산연산치과), 이민형 세무사(택스홈앤아웃) 등이 연자로 나선다. ‘개원 필수 임상’ 부분의 연자는 노관태 교수(경희대 치과병원), 최유정 원장(최유정치과), 권성준 원장(두손모아치과), 이승근 원장(공릉서울치과), 박창진 원장(미소를 만드는 치과), 남궁인 교수(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참가업체와 함께 준비하는 개원’ 부분의 연자는 조대현 원장(온아치과), 송영국 대표(프로미엘), 김석범 원장(오늘치과), 김경욱 원장(광주본플란트치과) 등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이번 행사에서는 의료장비관, 의료정보관, 의료컨설팅관, 개원입지관 등 다양한 전시존을 마련해 개원 준비부터 경영 안정까지의 전 과정을 알기 쉽게 전달할 예정이다. 덴텍스 관계자는 “참가업체 모집이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남은 기간은 컨퍼런스 운영과 관람객 홍보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개원과 경영의 모든 정보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DENTEX 2026’을 통해 2026년 치과 개원 트렌드를 직접 확인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심미치과학회(이하 심미치과학회) 국제교육원 프로그램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성공 가도를 달렸다. 심미치과학회는 지난 10월 18~19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에서 국제교육원(KAED International Education Center) ‘2025 Advanced Esthetic Hands-on Program’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최근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지난해와 올해 모두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해 내며, 심미치과학회의 연간 정례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행사는 ‘모던덴탈그룹(Modern Dental Group)’과 함께 진행했으며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우리나라 심미치과 기술에 관심을 가진 아시아 각국 치과의사가 참가했다. 프로그램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전치부 라미네이트, 올세라믹 크라운을 주제로 강연 및 실습을 진행했다. 여기에 올해는 투명교정치료와 심미치주치료 강의 및 핸즈온 세션을 새롭게 추가해 더욱 풍성한 학술 콘텐츠를 선보였다. 또 심미치과학회는 K-덴탈 브랜드 가치를 아시아 국제 사회에 제고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뿐 아니라 서울 도심 투어 코스 등 한국을 느낄 수 있는 문화와 일상 체험의 장을 참가자에게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김진환 심미치과학회 회장은 “국제교육원이 올해 두 번째 열리며, 학회 글로벌 전략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한국 치의학 콘텐츠를 세계 치과계에 전파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꾸준히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김우현 국제교육원장은 “올해는 강의 내용뿐 아니라 구성과 운영 전반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며 “내년에는 보다 다양한 국가와 협력해 국제교육원의 외연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치과 의료진과 환자를 지키는 ‘30초’의 비밀이 공개된다. 치의신보TV와 리스테린(LISTERINⓇ)이 오는 11월 13일 웹 세미나를 열고 구강 린스를 활용한 원내 감염 예방 시스템을 전달한다. ‘의료진과 환자를 위한 30초 완성의 고품격 감염 예방 시스템’을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는 신유림 원장이 나선다. 신 원장은 3M Asia Pacific(싱가포르) 감염 관리 가이드라인에 공동 참여한 바 있다. 또 대한치과감염학회, 국제구강임플란트학회(ICOI),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KAOMI) 등 여러 학회 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신 원장은 치과 진료실 감염 관리의 핵심인 에어로졸 문제를 분석한다. 아울러 구강미생물과 전신 건강의 상관관계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구강 린스의 임상 적용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겠다는 것이다. 또 이 자리에서는 구강 린스 사용 후 구강미생물 활동성 변화 등 신 원장이 참여한 다양한 최신 연구 자료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신 원장은 “최근 구강미생물의 전신 질환에 대한 영향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데, 치과의사가 그 중심에 서야 한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다”며 “특히 감염 관리 측면에서 술식 전 구강 린스의 사용 효과를 깊이 있게 조명하고, 치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명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 신 원장은 기존 대비 쉽고 간편한 임상 적용법과 그 효과를 전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세미나 키워드를 ‘30초’로 정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술전 30초에서 1분가량만 구강 린스에 투자해도 원내 감염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신 원장의 설명이다. 신 원장은 “이번 세미나에서는 구강 린스는 30초에서 1분만 사용해도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특히 멀게만 느껴지는 이론보다 조금 더 쉽고 간편한 임상 적용법을 설명하고 예방적 접근법을 깊이 있게 다뤄 보겠다”며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리스테린은 유칼립톨, 레보멘톨, 티몰, 살리실산 메틸 등 4가지 에센셜오일 기반의 구강청결제다. 특히 140년 역사를 통해 안정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효과 및 장점은 ▲구강 내 세균 99.9% 제거 ▲12시간 효과 지속 ▲플라그 및 치은염 예방 및 감소 ▲잇몸 경계 등 칫솔이 닿기 힘든 부분 세정 ▲유해균 및 플라그 생성 억제 ▲구취 제거 등이다.
 
								미니쉬코스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첫 정규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북미 시장의 과녁을 적중시켰다. 미니쉬테크놀로지(이하 미니쉬테크)는 지난 10월 24~2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의 ‘비타 노스 아메리카(VITA North America)’ 교육장에서 ‘제15회 미니쉬코스’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미니쉬테크에 따르면 이번 코스는 미국치과의사보수교육(Continuing Education) 인정 아래 진행됐다. 이번 코스에서는 수료생 22명을 배출했으며, 이로써 누적 수료생은 342명이 됐다. 특히 미니쉬테크는 정규 미니쉬코스를 해외에서 개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하며, 이를 발판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미니쉬테크는 일본 도쿄, 미국 베버리힐스 등지에서 미니쉬 임상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코스 참가자인 현지 개원의 필립 타가탁 원장(인랜드 덴탈아츠)은 “평소 비니어(Veneer) 치료를 많이 하는데, 미니쉬라는 최소 침슥적 측면의 치료 제안 옵션이 생겨서 기쁘다”며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과학적 근거를 듣고, 많은 강사진으로부터 1대1 수준의 소그룹 강의를 들을 수 있어 훌륭했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미니쉬코스는 ‘치아 복구 솔루션’을 기치로 내세우는 ‘미니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2년 시작됐다. 해당 코스에서는 미니쉬의 철학과 이론을 바탕에 둔 ▲프렙 ▲스캔 ▲본딩 ▲교합 ▲세팅 등을 다룬다. 수료생은 ‘미니쉬닥터’로 인정되며, 추후 심사를 거쳐 ‘미니쉬프로바이더’에 가입할 수 있다. 2025년 10월 현재 기준 미니쉬프로바이더 치과는 한국 43곳, 일본 29곳, 미국 1곳, 캐나다 1곳, 베트남 1곳 등 총 75곳 운영되고 있다. 미니쉬테크는 “미국 교육 과정 오픈은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 단계 진입을 의미한다”며 글로벌 헬스 테크 기업 도약의 뜻을 강조했다.
 
								치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이제 장비에서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미용치과협회(KADA)가 주최하는 ‘2025 메디컬 에스테틱 장비 세미나’가 오는 11월 1일(토), 오후 3시부터 에프엔타워 대치(강남구 테헤란로424, 22층)에서 열린다. 세미나에서는 정현수 KADA 회장(해밀턴치과)이 나서 ‘미용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국내외 동향, 최신 트렌드 및 치과 적용 가능성을 분석해 강의한다. 이어 레이저(CO2 프락셀), RF(Radio Frequency), Cooling, HIFU(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스킨부스터, 더마샤인, ONDA, LDM, 이온토포레시스 등 핵심장비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 특별 강연으로 ‘현명한 장비 도입과 경영’을 주제로 시연 및 ROI 분석, 장비 도입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 참가자들에게 미용 장비와 관련한 질문을 받아 현장에서 궁금증을 해결해 줄 예정이다. KADA 측은 “우리 치과만의 차별화된 비급여 진료 항목을 만들고 싶은 분, 최신 미용 장비 도입을 고려 중이지만 선택과 활용에 여려움을 느끼는 경우, 기존 미용 시술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장비 조합이 궁금한 원장님들을 위해 마련한 자리”라며 “환자 만족도와 재방문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싶은 개원의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참가신청: https://kada.im/39
 
								대한치주과학회가 실습 중심 교육으로 한국과 몽골의 치주학 교류에 새 지평을 열고 있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지난 10월 23~24일 몽골국립의과대학 치과대학에서 몽골치주학회(MAP) 회원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제9회 KAP·MAP 교육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는 몽골치주학회 회장을 비롯한 주요 임원진이 모두 참석해 양국 치주학계의 학문적 교류와 우호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행사 첫날은 양승민 국제위원회장의 개회사로 문을 열었다. 이어 구 영 전 회장(서울대 명예교수)이 ‘몽골과의 교류 역사와 발전 과정’을 돌아보며 2010년대 초반부터 이어진 한·몽 치주학 교류의 의미를 되짚었다. 김현주 교수(서울대치과병원)는 임플란트 식립의 기본 술기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강의를 진행했고, 송영우 교수(중앙보훈병원)는 장기적 성공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 시기, 골이식 병행 전략 등 최신 근거를 제시했다. 박진영 교수(연세치대)는 골재생유도술(GBR)의 다양한 임상 테크닉을 풍부한 증례와 함께 공유했고, 오후에는 돼지턱(pig jaw)을 활용한 임플란트 식립·골이식 실습이 진행돼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둘째 날에는 김상민 교수(단국대세종병원)가 발치와 치조제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의 적응증과 술식을,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치과병원)가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 치료 프로토콜과 유지관리 전략을 주제로 강의했다. 이정원 교수(서울대치과병원)도 함께 모델 실습을 지도했다. 참가자들은 직접 발치와 치조제보존술과 임플란트 표면 처치를 위한 기구 사용 및 임플란트 주위 골재생 술식 등을 시행하며 만족감을 표했다. MAP·KAP 교육 워크숍은 2011년 첫 개최 이후 10년 넘게 이어져 온 대한치주과학회의 대표 국제협력 사업으로, 아시아 치주학회 활성화를 목표로 매년 몽골치주학회 및 몽골국립의과대학 치주과 교수진과 공동으로 진행돼 왔다. 내년에는 10주년을 맞아 양 학회의 그간 협력 성과를 기념하고,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특별 워크숍이 몽골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이번 워크숍 외에도 한수부 국제협력기금(KAP Clinical Traineeship Program)을 통해 몽골 및 아시아 지역 치주과 전공의의 한국 내 연수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 협력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나아가 일본·중국·호주·미국·유럽 여러 국가의 치주학회와도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는 등 범세계 네트워크를 확립해 나가고 있다. 워크숍을 총괄한 윤정호 국제이사(전북치대 교수)는 “학회의 임상 경험과 교육 노하우를 몽골 의료진들과 공유하며 아시아 치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큰 보람”이라며 “앞으로도 한국 치주학의 선진 기술과 학문적 성과를 국제사회와 나누고, 지역 학문 발전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덴탈 기업 덴티움이 지난 12일 일본 오사카 HERBIS HALL에서 ‘2025 Dentium Minimalism in OSAKA’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300여 명의 치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Minimalism in Dentistry’를 주제로 최신 임상 트렌드와 미니멀 접근법을 공유하는 장이 됐다. 첫 연자로 나선 와다 케이스케 원장(i-SMILE 치과클리닉)은 ‘Minimalism in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를 주제로 강의하며 “레이저를 활용한 치주염 치료와 색소 침착 개선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통해 최소 침습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타마키 히토시 원장(니혼바시 임플란트센터)은 bright Implant Tissue Level의 장점을 소개하며 “덴티움의 Tissue Level Implant는 구조적 안정성과 정밀한 접합 설계로 골 흡수, 스크류 풀림, 파절 발생을 최소화하고 주변 염증 발생률 또한 낮아 유의미한 장기 성공률을 보인다. 즉시 식립 환경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은 ‘Digital Minimalism’을 주제로 bright Implant, bright CT, Pin Guide, OSTEON을 활용한 덴티움의 디지털 솔루션과 임상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강연 동안 제품 개발자로서의 전문적 시각과 섬세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품 유효성 및 신뢰성을 전달해 참가자들의 공감을 이끌었다. 이어 마치다 지로 부원장(아틀라스타워치과)는 “7mm 이하의 쇼트 임플란트도 기존 10mm 이상의 제품과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며 “골량이 적은 환자에게 적합한 임상 대안으로 외과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철 원장(연세굿데이치과)은 골이식 및 GBR 최신 트렌드를 공유했다. Easy Bone Graft의 다양한 임상 적용과 함께 OSTEON™ 3 Collagen, PDRN을 활용한 iGBR 증례와 Collagen Graft, OSTEON™ Xeno 등 덴티움 골이식재 라인업의 임상 효용성을 제시해 현장 호응을 이끌었다. 아츠미 카츠유키 원장(덴탈클리닉K)은 SimpleLine2의 디자인 특징과 임상 적용 포인트를 공유하고, Tissue Level Implant의 장점과 주의점을 짚었다. 마지막으로 아키타 타케시 원장(아키타치과)은 “치주와 보철은 양 바퀴처럼 함께 움직여야 한다. 정확한 GBR과 임시 보철 교합 조정이 임플란트의 장기 성공에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제품 소개를 넘어 실제 임상 적용 사례와 효율적인 사용법을 중심으로 진행돼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덴티움이 제시한 ‘디지털 미니멀리즘(Digital Minimalism)’ 컨셉이 일본 치과 시장의 요구와 잘 맞아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일본 치과계와 함께 임플란트 치료의 ‘Minimalism’ 패러다임을 확산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지속적인 학술 교류와 제품 연구를 통해 일본 시장 내 신뢰받는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덴티움은 오는 11월 20일부터 21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아시아 지역 임상가들과의 교류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코웰메디가 임플란트 안정성과 골이식재 선택을 주제로 지난 10월 25일 서울과 광주에서 임플란트 세미나를 동시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 현장에는 치과의사 및 치과 종사자들이 대거 참석, 열띤 토론과 실질적 임상 교류의 장이 됐다. 또 두 세미나 모두 사전 등록 단계에서 전석이 마감되는 등 높은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고 주최 측은 밝혔다.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SHOW ME THE FIT’ 세미나에서는 김용진 원장(예스미르치과)과 나기원 원장(예스미르치과)이 임플란트의 장기적 안정성을 위한 연조직 관리 전략과 SFIT Cementless Solution의 최신 임상 적용법을 폭넓게 다뤘다. 강연 후 질의응답도 이어졌고, 참석자 전원에게는 SFIT 체험권도 제공됐다. 같은 시각 서울 삼성캠퍼스에서는 ‘GBR & INSIGHT’ 세미나가 열렸다. 전인성 원장(서울H치과)과 김영욱 원장(원주치과)이 연단에 올라 BMP 솔루션과 골이식재 적용법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특히 전 원장은 골이식재를 올바르게 이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임상가의 통찰을 강조했다. 아울러 참석자 전원에게는 INNO Graft B가 제공됐다. 코웰메디는 “각 지역의 세미나가 질의응답과 자유 토론 중심의 참여형 구성으로 이뤄져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이 됐다”고 밝혔다.
 
								덴티움 ‘GBR 마스터 세미나’가 지난 10월 19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세미나는 ‘손쉬운 GBR 프로토콜’을 주제로 덴티움의 최신 재생 솔루션인 Collagen Membrane 2(Soft), Membrane Pin, bright Implant를 활용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GBR 임상 노하우를 참가자들에게 전달했다. 연자로 나선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은 수십 년간 축적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Narrow Ridge를 위한 Conventional GBR, bright Tissue Level을 이용한 Easy Bone Graft 술식을 상세히 소개했다. 이어서 bright Implant, Collagen Membrane 2(Soft)를 사용한 실제 환자 증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술식과 대처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 bright Bone Level Implant와 Tissue Level Implant의 구조적 차이와 임상적 장점을 비교하며, “bright Tissue Level Implant는 기존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해결이 어려웠던 Narrow Ridge와 같은 제한된 케이스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협소한 골폭, 언더컷 케이스 등 복합적인 난이도의 증례를 통해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bright System의 임상적 우수성을 입증했다. 또 이론 강연 외 bright Implant를 이용한 Conventional GBR과 Easy Bone Graft 술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Hands-on 세션이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Membrane Pin의 간편한 고정력과 Collagen Membrane 2(Soft)의 유연한 조작성에 호평을 쏟아냈다. 덴티움 관계자는 “연자의 오랜 임상 경험을 참가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참가자들의 임상 자신감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앞으로도 덴티움은 bright Implant와 Collagen Membrane 2(Soft)등 다양한 재생 솔루션이 현장 중심의 교육을 통해 꾸준히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치과보존학회가 일본 학회와 함께 수복 및 근관치료 분야 노하우를 담은 강연을 마련했다. ‘2025 대한치과보존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27회 한일공동학회’가 오는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서울 원불교 소태산 기념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저명한 연자들의 특강과 함께 전공의들의 치과보존학 관련 다양한 연구 발표가 마련됐다. 우선 25일에는 인정의 필수보수교육으로 조효진 교수(경북대)가 연자로 나서 ‘Minimally Invasive Endodontics: up to date’를 주제로 강의한다. 이어 한일공동학회 차원에서 ‘KACD-JSCD Joint English Oral Session New Researcher Competition’이 진행된 예정이다. 아울러 Chiaki Kitamura JSCD 회장의 초대 강연과 민수영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의 ‘On the verge of pulp exposure: Caries Management Strategies in Pediatric Dentistry’ 특별 강연이 준비됐다. 이후에는 신동훈 교수(단국대)의 ‘Indirect Posterior Restoration: AI suggestion VS MINE’ KAID 특별 강연이 예정돼 있다. 26일에는 인정의 필수보수교육으로 성건화 교수(원광대)가 연자로 나서 ‘Fundamentals of Teeth WShitening’을 주제로 한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 창동욱 원장(윈치과)의 ‘Between calm and passion : Save? Extract?’, 신주섭 원장(전주미치과)의 ‘Some Suggestions for anterior resin treatment using composite resin’ 등 특별 강연이 마련됐다. 이 밖에 Gaetano Paolone 교수(Vita-Salute 대학)의 ‘Predictability and Precision in Direct Esthetic Restorations’ 초대 강연이 참가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참여시 치협 보수교육점수 4점이 인정된다. 학회 관계자는 “수복 및 근관치료 분야의 다양한 연자를 초청해 대한치과보존학회 회원 및 개원의 선생님들께 많은 정보를 제공해 드리고자 준비했다. 치과 원장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